KREI,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온라인 결과’ 발표
올해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식품 ‘가격‘에 매우 민감한 한 해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가격‘을 꼽은 가구의 비중이 거의 모든 품목류에서 크게 증가했다.
이는 급등한 먹거리 물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속화된 비대면·언택트 소비행태가 2021년에도 지속됐는데,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가 ‘온라인 채널‘이라고 응답한 가구 비중이 2018년에는 0.3% 수준에 불과했고, 올해에는 4.0%까지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외출을 줄이고 집밥이 늘어나면서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식품을 구입하는 장소의 선택이나, 온라인을 통한 식품구입행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지난 14일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최한 ‘2021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나왔다.
조사 결과,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주로 구입하는 식품으로는 물이나 가공식품이 주를 이뤘는데, 2021년에는 곡류나 과일을 온라인으로 구입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도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채소, 육류, 계란류와 같이 신선도가 매우 중요하거나, 깨지기 쉬운 신선식품군들도 처음으로 15%를 넘어섰다.
식품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으로는 단연 ‘가격’의 영향력이 확대됐다. 쌀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은 맛, 품질, 가격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했는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2020년 20.3% 수준에서 2021년 24.2%로 약 4%p 가까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