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파프리카, 7월 출하량 전년과 비슷

가을작형 정식면적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수박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은 수익 증대를 위해 재배면적 확대, 충청지역은 침수피해가 발생한 전년 대비 출하면적 증가, 호남지역은 작목 수박에서 무로 무에서 쌈채소 등으로 전환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은 수정 및 착과기(6월) 강수량 증가와 기온하락 등으로 생육이 5~7일 지연, 충청지역은 6월 일조시간 감소로 과실 비대가 불량하여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2,400원/kg 내외로 전년 2,300원이었다. 출하량은 전년과 비슷하나, 기온상승 및 대체 품목(참외 등) 가격 상승으로 수박 가격은 전년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외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영남지역(경북 성주 등)은 병해충 증가로 조기 출하 종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6월 상순 높은 일교차로 수정·착과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보이며, 기온 상승으로 병해충이 증가하여 단수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28,000원/10kg 내외로 전년 26,200원이었다. 7월 상순에는 지연된 3화방과 4화방이 동시에 출하되어 전년 대비 가격 하락하겠으나, 중순부터 출하량이 감소하며 전년 대비 가격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토마토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 강원지역은 여름철 고온을 피해 조기 정식 증가했고, 호남지역은 전북 장수 등에서 바이러스 피해로 일부 재정식 농가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전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5~6월 야간기온 하락 및 흐린 날씨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 호남지역은 생육기 일조량이 부족했던 전년 대비 작황이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2,000원/5kg 내외로 전년 11,200원이었다.
△출하전망 = 대추형방울토마토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은 품종을 일반토마토에서 대추형으로 전환 늘었으나, 조기 출하 종료 농가 발생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호남지역은 전남 담양 등에서 2기작 정식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기 기온하락 및 흐린 날씨 영향 등으로 작황이 양호했던 전년 대비 단수가 감소, 큰 일교차로 토마토뿔나방, 잿빛곰팡이 등 병해충 피해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3,000원/3kg 내외로 전년 12,900원이었다.
■청양계풋고추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영남지역은 전월 및 전년 가격 상승으로 출하 지속 의향 증가, 강원지역은 작목을 토마토 등으로 전환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생육 초기 냉해 및 가뭄 피해가 있었으나, 현재는 작황이 양호한 편이며, 영·호남지역은 출하기 가격 하락에 따른 관리 소홀 등으로 작황이 부진, 2024년 7월은 장마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하였으나, 금년은 평년 대비 강수량이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50,000원/10kg 내외로 전년 55,900원이었다.
■빨강파프리카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호남지역은 연작피해 방지를 위해 작목을 파프리카에서 토마토로 전환, 영남지역은 수익성 기대로 품종 빨강파프리카에서 노랑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야간 기온하락으로 6월 하순 출하 지연된 물량이 7월 상순 출하될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상태가 양호하며, 병해충 피해가 적어 작황이 양호한 편인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2,000원/5kg 내외로 전년 12,000원이었다.
■오이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지역은 가격 상승 기대 심리로 면적 확대, 강원지역은 작목 백다다기오이에서 토마토 등으로 전환, 충청지역은 바이러스(녹반바이러스 등) 피해로 조기 종료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초기 생육 양호하며 병·바이러스 발생이 적어 단수 증가, 충청지역은 노균병, 녹반바이러스 피해로 기형과가 발생하여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64,000원/100개 내외로 전년 64,500원이었다.
△출하전망 = 취청오이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호남지역은 작목 취청오이에서 방울토마토, 수박 등으로 전환, 경기·강원지역은 작목을 취청에서 가지 등으로 전환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호남지역은 흰가루병, 노균병 발생 등으로 단수 전년 대비 감소, 충청지역은 일조량 부족과 일교차 심화 등 기상 여건 악화로 기형과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35,000원/50개 내외로 전년 33,500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