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 12월 출하량 전년대비 11.5% 증가
12월 배추 출하량 감소, 무는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2년산 양파 재배면적 전년대비 감소, 마늘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생산전망 = 2021년산 겨울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배추 생산량은 27만3천톤으로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2.7%, 7.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3,690/ha이며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2.5%, 7.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상·중순 전체 면적의 99.2% 정식, 전년 66.2% 대비 빠른 9월 중순 정식이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7,393㎏/10a이며 전년대비 11.4% 증가, 평년대비 0.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한파 피해가 컸던 2020년산 대비 작황이 양호하며 평년과는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 12월 하순 대비 빠른 12월 상·중순 출하가 예정되며, 도매시장 가격에 따라 시장 출하 및 저장입고 병행, 만생종 비율이 높은 전남 진도지역은 내년 1월 본격 출하가 전망된다.
△출하전망 = 12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25.6%, 11.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배추는 출하조기 종료되어 전년대비 27.8% 감소, 겨울배추는 출하면적이 적어 전년대비 5.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1월 겨울배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6.3%, 9.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가격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상품 도매가격은 8,500원/10㎏ 내외이며, 평년대비 43.1% 상승한 것으로 전망되며, 김장종료, 겨울배추 작황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11월 대비 가격 하락이 전망된다.
2022년 1월 가격은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 12월과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전망 = 2021년산 겨울무 생산량 전년 및 평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무 생산량은 35만1천톤으로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6.3%, 1.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5,508ha이며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2.8%, 10.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중순 태풍 영향으로 8~9월 상순 파종 비중이 전년대비 7.5%p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6,371㎏/10a이며 전년대비 3.9% 감소, 평년대비 9.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8~9월 상순 파종분(12월~내년 1월 출하) 작황이 태풍 영향으로 평년대비 부진한 것으로 보이며, 9월중순~10월상순 파종분(2월 이후 출하)은 작황이 평년대비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내년 1월 겨울무 면적 감소, 작황 부진하여 출하량 감소, 2월부터는 파종 지연된 겨울무 출하가 확대되어 공급 과잉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출하전망 = 12월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 평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4.2% 감소, 평년대비 2.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무 막바지 출하가 이루어지나, 겨울무 출하 지연으로 순별 출하량 증가폭이 축소, 순별 출하량 평년대비 상순 3.7%, 중순 2.0%, 하순 0.5% 순이다.
2022년 1월 겨울무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4.8%, 6.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도매가격 전년대비 상승, 평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도매가격은 13,000원/20㎏ 내외이며, 전년대비 10.3% 상승, 평년대비 13.6%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무 초기 출하량이 감소하여 순별 가격 상승이 전망된다.
2022년 1월 가격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재배면적 = 2022년산 마늘 재배면적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4,149ha이며,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형 마늘은 4,595ha이며 전년 대비 3.4% 감소, 난지형 마늘은 19,554ha이며 전년 대비 4.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난지형 품종별 재배면적은 대서종 8.3% 증가, 남도종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깐마늘 가격 전월 하순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8,200원/kg 내외이며, 11월 하순 8,425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마늘 수급 안정을 위한 TRQ 도입 계획(12월 깐마늘 6천 톤 수입권 공매, 내년 1월 이후 피마늘 4천 톤)
■양파
△재배면적 = 2022년산 양파 재배면적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재배면적은 17,672ha이며 전년 대비 4.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생종양파는 2,943ha이며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수확기 가격이 높았던 제주지역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는 14,729ha이며 전년 대비 5.5%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육묘기 잦은 강우와 인력 부족으로 정식시기 전·평년 대비 1주일 가량 지연된 것으로 보이며, 정식후 초기 생육은 일부 회복하였으나, 평년 대비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양파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850원/kg 내외이다. 양파 재고량 증가로 전년과 평년보다 낮고,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출하전망 = 12월 대파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11.5%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0.7% 증가 (전년 출하기 가격 상승하여 재배면적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0.8%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전남 이외 지역 단수 감소는 생육기 잦은 비로 병해충 발생, 최근 가뭄으로 생육이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 지역 단수 증가는 생육기 기상호조인 것으로 전망된다.(일부 우박피해가 있으나 전년 대비 양호)
△가격전망 = 12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5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생산전망 = 겨울대파 출하량 증가하여 전월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대파 재배면적 전년 대비 증가, 생육은 양호한 편이다.
2021년산 겨울대파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2.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산 출하기 가격 강세)
■당근
△출하전망 = 12월~2022년 1월 당근 출하량 전년 및 평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1.2% 감소, 평년대비 6.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당근 출하량은 전년대비 15.3% 감소, 출하비중이 높은 겨울당근은 4.8%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1월 겨울당근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4.9%, 15.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상품 도매가격은 24,000원/20㎏ 내외이며, 전년대비 4.5% 상승, 평년대비 21.5%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1월 가격 전년 및 평년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