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산물 더 신선하게 수출된다
국내 농산물 더 신선하게 수출된다
  • 권성환
  • 승인 2021.12.10 1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딸기·포도 ‘특수 저장고’에 넣어 수출
모의실험 결과, 딸기 부패율 50% 줄고 포도 3주간 싱싱
농촌진흥청과 수출 관계자가 지난 8일 원예원에서 CA 컨테이너 활용 신선농산물 선적 기념식을 가졌다.
농촌진흥청과 수출 관계자가 지난 8일 원예원에서 CA 컨테이너 활용 신선농산물 선적 기념식을 가졌다.

딸기, 포도 등 국내산 농산물을 지금보다 더 신선하게 해외로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지난 10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시에이(CA) 컨테이너를 이용해 농산물 수출에 나선다고 밝혔다.

CA 컨테이너는 온도, 습도를 비롯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등 대기 환경을 조절하는 CA 저장 기술을 농산물 수송 컨테이너에 적용한 것이다. 컨테이너 안에 관련 설비를 고정해 이동 중에도 작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해외에서는 이미 변질되기 쉽고 물동량이 많은 바나나, 아보카도 등을 장거리 수송하는 데 CA 컨테이너를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농산물 수출량이 늘고 장거리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짐에 따라 기술 적용을 시도하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10일 부산항에서 수출 효자 품목인 딸기와 샤인머스켓, 방울토마토, 새송이버섯, 고구마 등을 배에 실어 홍콩으로 시범 수출했다. 앞서 지난 8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선적 기념식을 가졌다.

CA 컨테이너 내부 환경은 수송 중 작물 호흡을 억제하고 부패균이 자라지 못하도록 온도 4도(℃), 산소 농도 5%, 이산화탄소 농도 12%로 설정했다.

내부 조건은 딸기 품목에 알맞지만, 여러 품목의 혼합 수출이 많은 국내 상황을 고려해 혼합 가능한 품목을 함께 실어 보낼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수출에 앞서 다양한 품목으로 CA 컨테이너 모의 수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딸기는 10일간 모의 수송 후 부패율이 일반 컨테이너 수송보다 50% 이상 낮았고, 복숭아는 3주 후에도 초기의 단단함이 유지됐다. 

포도와 버섯은 3주, 5주간 모의 수송 후에도 품질이 잘 유지돼 유럽 등 장거리 수송에도 기술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홍윤표 과장은 “한국의 농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CA 컨테이너 도입으로 우리 농산물의 품질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수출국 다양화 등 수출 확대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