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본격적인 과수 묘목 정식기를 앞두고 복숭아 과수원을 열거나 묘목을 교체하는 농가에서는 품종이 추위를 잘 견딜 수 있는지(내한성) 반드시 고려해서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
복숭아는 수확 후 유통기간이 짧아 다른 과종에 비해 한 농가에서 심는 품종 수가 많고, 품종에 대한 생산자의 관심이 매우 높다.
그러나 국내 적응성 시험과 품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국외 품종을 무분별하게 도입·심음으로써 최근 동해 및 결실 불량 문제를 가중시켰다.
농촌진흥청 과수과는 지난 3년 동안 전국적 조사를 통해 복숭아 품종별 내한성 정보와 과거 30년(1981∼2010) 기상자료를 활용해 복숭아 품종별 동해발생 지도를 제작, -15℃, -21℃ 이상에서 재배 가능한 품종을 추천했다.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미홍’, ‘유미’, ‘선미’, ‘수미’ 등은 내한성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국내 육성 품종은 전국 7개 지역에서 5∼6년 동안 지역적응시험 후 선발했기 때문에 최근 극심한 한파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다. 이들 품종은 최저기온이 -21℃ 이상인 전남북과 경남북, 경기지역에서 동해에 안전하게 재배가 가능하다. 반면, 일본에서 도입돼 보급된 품종 중 ‘가납암백도’, ‘경봉’(오도로끼) 등은 내한성이 매우 약해 경산, 의성 등 남부지역에서도 동해가 발생했다. 이들 품종은 최저기온이 -15℃ 이상인 전남 남서해안과 경남 남해안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다.
한편, 아무리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라도 -21℃ 이하 저온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찬 공기가 머무는 지역 및 물 빠짐이 좋지 않은 과원에서는 복숭아를 재배하기에 부적합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내한성 확인 후 지역에 맞는 품종 심어야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