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국산제품 외국산 앞질러
스마트팜 국산제품 외국산 앞질러
  • 조형익
  • 승인 2020.04.27 1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6% 국산 보급 … 생산성 증대 노동시간 감축 등 효과 높아
전문인력 양성 및 시스템 표준화, 데이터 수집 및 활용도 높여야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스마트팜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활용과 함께 전문인력 양성, 장비의 표준화 등이 시급히 풀어야 숙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보급실적 자료에 따르면 사업이 본격화 된 2014년 60ha에서 2015년 769ha, 2016년 1,912ha, 2017년 4,010ha, 2018년 4,900ha, 2019년 5,383ha로 증가하고 있다. 2020년까지 7,000ha로 보급을 늘린다는 목표다.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팜 중 국산제품은 비닐온실에서 수입산은 유리온실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었다. 농림수산식품문화정보원(농정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산제품이 86.2%, 수입산은 13.8%로 국산제품 보급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외국산을 크게 앞지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팜의 초기모델은 온습도, 일사 등 센서정보와 카메라 영상정보 등을 이용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편의성을 높인 모델이 주종을 이뤘다. 2세대는 식물의 생육시기별 환경요인(온도, 광, CO2 농도) 변화에 따라 생장을 예측하면서 최적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등 지능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팜 도입으로 평균 생산량이 30.1% 증가했고 고용노동비는 8.6% 감소했다. 도입 3년차부터는 생산성 증대 보다는 자가 노동시간이 20% 줄이는 효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농작물의 생산량 및 품질에 영향을 끼지는 병해충 및 질병 피해액 17.3%, 재해 예방비 10.3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농업이 영농 위험을 상당부분 감소시키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

기존의 시설원예 만으로는 경쟁력 있는 농업으로 발전하기에는 한계가 노정되면서 자본과 첨단기술이 접목하면서 새로운 농업으로 발전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팜은 높은 도입비용, 첨단 시스템의 사용의 어려움, 데이터 수집과 활용과 함께 전문인력 양성, 장비의 표준화 등은 풀어야할 숙제로 대두되고 있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국산제품 보급 확산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발상의 전환을 통한 농가 교육과 표준화 등이 추진돼야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작은 것부터 개념을 정확히 하면서 시설 현대화 등 과감한 투자가 동반돼야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거”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확산과 교육을 위한 예산을 투입, 시설보급 및 온실 신축을 지원하면서 전문인력 양성, 청년 창업농 육성을 위한 교육강화, 스마트팜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등 지원을 강화해 나간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