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산 목재 활용 확대·공급망 안정화 추진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목재 생산량 확대 및 자급률 제고를 위한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국제 목재 시장의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도 목재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산 목재 공급망 안정화에 나설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국 산림청(USFS)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목재 자급률 향상을 위한 두 건의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이는 미국이 보유한 풍부한 목재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원목·제재목·파생제품 등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필요 시 관세 부과 등 수입 제한 조치를 검토하도록 했다.
미국 정부는 자국 내 목재 자원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환경 규제와 복잡한 행정 절차로 인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목재 수입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산림 관리 부족으로 산불 피해와 야생동물 서식지 악화 문제가 심화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행정부는 ▲목재 생산 확대를 위한 법률 개정 ▲산림경영 전략 수립 ▲생산 허가 절차 간소화 ▲환경 규제 완화 등의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조치는 국제 목재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목재 공급이 증가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도 장기적인 목재 자급률 제고와 국산 목재 활용 확대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림청은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움직임에 대비해 국내 목재 공급망 안정화와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국산 목재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인센티브 도입과 제도 개선을 검토 중이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미국의 목재 정책 변화에 주목하고, 국내 목재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