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 노지고추, 육묘상 온도 서서히 낮추고 광선 많이 받도록 관리
농사포인트 - 노지고추, 육묘상 온도 서서히 낮추고 광선 많이 받도록 관리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5.03.18 1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살구 꽃가루 채취 꽃피기 1~2일전 꽃밥 터지기 전까지

△마늘․양파 = 과습한 곳은 배수로를 정비하고 습해 발생이 심할 경우 비닐 멀칭을 일부 걷어주어 피해를 경감시킨다.
웃거름 주기는 많이 주거나 시기가 늦게 되면 영양 생장이 계속되어 구 비대가 지연되거나 양파 청립주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생육상태 및 기상여건을 감안하여 웃거름 주기를 실시하도록 한다.
병해충은 노균병, 검은무늬병,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파총채벌레 등이다.
적기방제는 초기 발생 개체를 제거, 등록약제 10일 간격 수차례 방제한다.

△노지고추 = 육묘 후기관리는 정식하기 일주일 전부터는 정식 포장의 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육묘상의 온도를 서서히 낮추고 광선을 많이 받도록 관리한다.
노지재배에서는 밤에도 환기시키고 관수량을 줄여서 순화를 강하게 해야 정식 후 몸살이 적고 활착이 빨라 생육이 왕성하다.

△묘목심기 =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다.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하순까지는 심어야 한다.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모양 및 전정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피해 예방시설 사전점검 = 저온 피해 상습 발생 지역 및 늦서리 발생이 우려되는 과원에서는 예방시설 사전점검 필요하다.
관수시설 점검 및 가동 시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사전가동 필요하다.
과수나무 위에 6m 이상 높이로 방상팬을 설치하여 가동한다.
발아 직전 2℃ 전후, 개화기 이후에는 3℃ 정도로 설정하여 일출 이후까지 팬을 가동한다.

△플럼코트 = 플럼코트 열매 맺음을 위해서는 과수원에 살구 수분수(꽃가루받이 나무)를 30% 정도 섞어 심어 꽃가루 운반 곤충(방화곤충)으로 하여 자연수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살구 꽃가루를 채취하기에 알맞은 시기는 꽃이 피기 1∼2일 전 꽃봉오리 상태일 때부터 개화 직후 꽃밥이 터지기 전까지이다.
꽃가루와 증량제의 혼합비율은 품종마다 다르다.
인공수분 시기는 날씨를 고려해 플럼코트의 개화 기간(약 10일)에 낮 최고기온이 17℃ 이상 되는 포근하고 바람 없는 날, 오전 10시∼오후 4시 사이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훼 = 거베라 재배준비는 다양한 색상과 크고 화려한 꽃의 모양으로 행사·축제·결혼 등에서 화환 및 부케를 장식할 때, 널리 이용되는 화훼 품목이다.
거베라는 토양온도가 올라가는 3월 상순까지는 깊이 갈이, 토양 소독 및 개량, 비료 주기 등의 아주심기 준비를 끝내고, 이후에 정식을 하는데 5월 하순 전까지 끝내는 것이 좋으며, 빠른 정식을 위해서는 토양온도 확보(지온 18℃)가 중요하다.
한여름에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고, 가을부터 개화가 시작하면서 이듬해 2∼4년간 지속적으로 채화가 가능하다.

△인삼 = 묘삼 식재 및 파종 준비는 봄철 묘삼 이식과 인삼종자 파종은 얼었던 땅이 해동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일찍 하는 것이 결주로 인한 수량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모종삼은 채굴 후 바로 심어야 모잘록병과 잿빛곰팡이병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식할 날짜를 정하고 채굴한다.
옮겨심기 전에 두둑 위 흙덩이를 잘게 부숴주는데 작판 정지기를 이용하면 로터리 작업, 두둑 표면 및 양·측면 고르기 등 3가지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5. 3. 17. ~ 3. 23.) [기상청 발표(’25. 3. 13., 6:00)]
(기온) 17~20일 아침 기온은 ­5~3℃, 낮 기온은 5~13℃로 평년(최저기온 ­1~6℃, 최고기온 11~16℃)보다 낮겠고, 21~23일 아침 기온은 ­2~8℃, 낮 기온은 11~19℃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특히, 17~19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기온이 평년보다 낮겠음
(강수) 17일 오전에 강원도, 18일은 전국에 비 또는 눈이 내리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5. 3. 17. ~ 3. 23.)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10호]
(벼농사) [사전준비] 건전한 볍씨 및 육묘상자 준비,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 [벼 육묘]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보급종 제외),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
(밭작물) [봄감자] 아주심기 20~30일 전 산광싹틔우기 실시, 적기 아주심기 및 제초제 처리 [콩·팥 종자] 콩·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 품종 및 물량 신청
(채소) [마늘·양파] 배수로정비, 웃거름 적기 시용, 구비 대기 관수, 노균병 방제 등
(과수) [묘목] 품종이 정확, 잔뿌리가 많고 눈이 충실한 묘목, 병해충이 없는 묘목 선택 ­ 묘목심기: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 가급적 봄 식재(3월 중·하순 전에 식재) [시설점검] 서리 등 저온 피해 대비 방상팬, 관수시설 사전 가동 및 점검
(특작) [인삼] 묘삼 이식과 인삼종자 파종은 땅이 해동하는 시기 일찍 해줌 [약용] 구기자 삽수 꺾꽂이, 해동 후 홍화 파종 실시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