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 시설수박, 열매 정상적 자라게 하려면 최소 15℃ 이상 온도 유지
농사포인트 - 시설수박, 열매 정상적 자라게 하려면 최소 15℃ 이상 온도 유지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5.03.11 1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늦서리 발생 우려되는 과원 예방시설 사전점검 필요

△시설수박 = 열매가 정상적으로 달려(착과기) 자라게(비대기)하려면 최소 15℃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밤낮 기온 차가 크거나 최저 온도가 15℃ 밑으로 떨어지면 수꽃의 꽃밥 터짐(개약)이 좋지 않고 꽃가루 힘(활력)이 떨어져 열매가 제대로 열리지 않으며 기형 열매 발생이 증가한다.
온실에 부직포 등 보온자재를 준비하거나 아주심기 전 전열선 등을 설치해 갑작스런 추위에 대비해야 한다.
수정 3∼4일 전 토양 수분 상태를 관찰하고 건조하다면 미리 물을 주고 열매가 갓 달리기 시작할 때 물을 주면 열매보다 식물체 자람이 왕성해져 열매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열매 크기는 수정 후 12일 안에 결정되므로 열매가 달린 뒤에는 토양 수분 상태에 따라 2∼3일 간격으로 물을 주고 질소와 칼륨질 비료를 공급한다.
수정은 식물체가 충분히 자라서 적정 잎 수를 확보한 상태에서 시도해야 한다. 당도를 높이려면 식물체가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조치해야 한다.

△고추 =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과실이 달리는 마디 부위가 상승하고 꽃수가 감소하며 꽃의 소질이 떨어지므로 육묘기간 중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 주어야 한다.
고추 육묘는 보온위주 관리이기 때문에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에 유의해야 한다.
고온이나 저온장해가 발생할 때는 생육에 따라 요소 0.2~0.3% 엽면시비 실시해야 한다.
제1분지의 첫 꽃이 개화하기 전후가 정식에 알맞을 때이고 초세가 약한 품종은 다소 어린묘를 정식하고. 강한 품종은 다소 늦게 정식해야 한다.

△묘목심기 =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다.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하순까지는 심어야 한다.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모양 및 전정 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피해 예방시설 사전점검 = 저온 피해 상습 발생 지역 및 늦서리 발생이 우려되는 과원에서는 예방시설 사전점검 필요하다.
관수시설 점검 및 가동 시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사전가동 필요하고, 과수나무 위에 6m 이상 높이로 방상팬을 설치하여 가동한다.

△화훼 = 장미 묘목 생산 방법은 국내에서 매우 중요한 화종으로 절화(꺾은 꽃)는 주로 온실 내 양액재배를 통해 재배되는데, 경기 고양과 경남 김해 지역에서의 재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장미의 시설 내 재배는 암면에 육묘한 양액재배를 많이 이용하는데, 암면재배에서는 삽목묘(꺾꽂이모)나 접삽묘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삽목은 장미 번식 방법에서 대표적인 영양번식 방법으로는 접목과 더불어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절화용 장미뿐만 아니라, 분화용 장미의 주요 번식 방법이다.
접삽묘는 뿌리가 없는 대목에 잎이 달린 가지를 접목하여 발근과 활착을 동시에 시키는 것으로 삽목과 접목을 함께 하는 방법이다.

△인삼 = 겨울이 지나면 폭설 예방으로 쳤던 차광망을 걷어 올려 두둑의 온도를 높이고 수분을 낮추어 인삼 머리가 부패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뿌리가 얕게 묻혀 인삼 머리가 보이는 곳은 고랑 흙으로 덮어준다.
땅이 녹아서 물이 고이는 인삼 포장은 배수로를 잘 정리하여 과습으로 인한 인삼의 생리장해와 뿌리썩음병 예방에 노력해야 한다.
모밭에서는 월동 이후 묘삼 채굴 시기인 3월 중·하순에 동해를 입은 형태로 부패하는 잿빛곰팡이병을 예방한다.
모종삼은 3월 중순∼4월 상순에 본밭으로 옮겨 심는데 잔뿌리가 마르지 않게 하고, 채굴 직후 바로 옮겨 심는 것이 좋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5. 3. 10. ~ 3. 16.) [기상청 발표(’25. 3. 6., 6:00)]
(기온) 아침 기온은 ­1~8℃, 낮 기온은 10~17℃로 평년(최저기온 ­3~5℃, 최고기온 9~15℃)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 10일 오후~11일, 13일 오전 제주도에, 11일 오전 전남권과 경남권에 비가 내리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5. 3. 10. ~ 3. 16.)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9호]
(벼농사) [사전준비] 건전한 볍씨 및 육묘상자 준비,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 [벼 재배]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보급종 제외),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
(밭작물) [맥류] 습해 등으로 생육이 부진한 포장에는 요소 2%액(요소 400g/20L) 엽면시비 [봄감자] 아주심기 20~30일 전 산광싹틔우기 실시, 적기 아주심기 및 제초제 처리
(채소) [고추] 육묘 시 고온장해 주의 및 환기 철저, 생육에 따라 엽면시비 실시
(과수) [묘목] 품종이 정확, 잔뿌리가 많고 눈이 충실한 묘목, 병해충이 없는 묘목 선택 ­ 묘목심기: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 가급적 봄 식재(3월 중·하순 전에 식재) [시설점검] 서리 등 저온피해 대비 방상팬, 관수시설 사전가동 및 점검
(특작) [인삼] 두둑 및 고랑 배수 관리로 봄철 해동기 습해 피해 방지 [약용작물] 봄철 종자 준비 및 비료주기, 재식 거리에 맞게 본밭 장만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