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농경지 미생물 다양성·기능분석 기초 자료 구축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9개 도 농업기술원과 함께 전국 225개 지점의 과수원 토양을 채취해 최신 DNA 염기 서열 분석 기법으로 미생물 분포를 조사했다.
이 조사는 전국 과수원의 흙 속 미생물의 다양성을 평가하고 변동 요인을 해석해 미생물학적으로 토양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농경지의 생태 등급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수행했다.
조사 결과, 과수원 토양을 대표하는 세균문(phylum)은 프로테오박테리아(34.2%), 액시도박테리아(18.9%), 액티노박테리아(14.3%), 크로로플렉시(5.3%), 박테리오디테스(5.2%) 등으로 나타났다.
프로테오박테리아는 의학·산업·농업적으로 중요한 세균으로 토양의 탄소, 질소, 황의 순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공기 중의 질소 고정 등 대사적으로도 매우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에는 프로테오박테리아가 전체 세균 중 30% 이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액시도박테리아는 최근 발견된 세균으로, 실험실 조건에서는 배양이 어려우며, 토양에 많이 살고 있으나 그 생태와 대사는 많이 밝혀지지 않았다.
액티노박테리아는 방선균으로 생리 활성 물질, 항생 물질을 생성해 유용한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