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식량 생산·소비·공급 체계 추진
안정적 식량 생산·소비·공급 체계 추진
  • 윤소희
  • 승인 2021.09.27 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식품부, 관계부처 합동 국가식량계획 발표

먹거리의 생산-공급뿐 아니라, 환경·건강·안전 등의 분야까지 먹거리 관련 종합전략인 ‘국가식량계획’을 통해 앞으로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소비 시스템이 구축된다.

이번 계획은 지난 3월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의 제안을 바탕으로, 올해 3~6월까지 5차례에 걸친 관계부처, 이해관계자,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지난 16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논의·확정됐다.

국내외적 여건에 맞춰 ‘국가식량계획’의 3대 중점 정책 방향으로 ▲국민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먹거리 생산·소비 ▲취약계층 먹거리 접근성 강화를 설정했다.

농식품부는 먼저, 재난·재해,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유사시에도 국민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 가능하도록 쌀·밀·콩 등 주요 식량작물 중심으로 공공비축 매입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쌀의 경우 최근까지 매년 35만 톤을 매입해왔으나 ‘22년에는 10만 톤을 추가해 매입량을 45만 톤으로 확대한다.

쌀 다음으로 소비가 많은 밀·콩의 자급률도 ’25년까지 각각 5.0%, 33.0%까지 높여나갈 예정이다.

또 지역의 푸드플랜 수립을 확대하고, 성장단계별로 지원해 국가 전체 자급률뿐만 아니라 지역단위 자급력도 제고한다.

이어 지역별로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설립해 공동 가공·판매를 지원하고, 공공급식 중심으로 로컬푸드 소비를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친환경농업집적지구를 육성하고, 가축분뇨로 생산한 비료·전기 등을 농업에 활용하는 지역단위 경축순환 모델을 개발한다.

먹거리 소비단계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식품 폐기를 줄이기 위해 ‘23.1.1일부터 ‘소비기한 표시제’를 시행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기후적응형 재배기술과 품종을 개발하며, 기후변화 모니터링을 통한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한다.

경종농업·축산 등 분야별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농식품분야 2050 탄소중립 추진계획’도 10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적정시비를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을 ‘20년 266kg/ha에서 ’25년 233kg/ha로 낮추고, 가축분뇨 정화·에너지화 등도 적극 추진한다.

지열·폐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시설원예를 확대하고, 전기용 농기계를 개발하는 등 저탄소 에너지 공급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더불어 농식품부는 취약계층에 대한 먹거리 지원사업을 확대해 먹거리 기본권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