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수급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과일수급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8.10.29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일수입량 증가하는데 우리과일 소비 감소 뚜렷

수입농산물이 범람하면서 우리 과수산업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의 위기 속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과일소비의 정체라는 큰 틀 안에서 수입산과 국내산이 경합을 벌이는 중인데, 수입과일의 소비량과 수입량은 연간 증가폭이 늘어가고 있다.
반면 우리 과일 소비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 속에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가 발표한 <2018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에 따르면 과실류의 수입액은 농산물의 10%이상을 차지하며 꾸준히 증가해왔다.
과실류 수입액은 2013년부터 5년간 14억9천800만달러(1조 7천55억원)에서 19억4천300만달러(2조 2천122억원)로 증가했으며, 해당 수치는 전년대비 10.4%가 증가한 셈이다.

김다혜(본지 취재기자)
김다혜(본지 취재기자)

# 수입산 섭취늘고 국내산 외면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과일류의 1인당 소비량은 경제위기 이후 정체를 보인다.
연간 과일소비량은 1990년 43.0kg에서 2015년 65.1kg으로 연평균 1.7%씩 증가해왔다.
20여년 전보다는 많이 먹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권장섭취량보다는 적은 수치다.
일본 후생성의 과일섭취 권장량은 연간 73kg인데, 이는 채소 127kg를 연간 섭취한다는 가정하에서다. 그리고 WHO는 채소, 과일을 연간 146kg 이상 섭취해야 한다고 권장한다.
과일류 지출액으로 보면 분명 증가하는 추세다.
2000년 이후 연 4.9%씩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과일가공품과 기타과일, 바나나, 복숭아, 딸기에  소비를 늘렸다.
반면 포도와 감, 수박, 참외, 배는 소비가 덜 되는 품목으로 나타나며 과일소비는 급격한 변화보다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소비 정체와 감소추세가 어느선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과일 소비량 지체는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시점부터 뚜렷하게 나타난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국산과일(2.7%), 과채(6.6%), 수입과일(9.6%) 소비량이 모두 늘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에는 수입과일 소비량만 연 3.6%씩 증가했고, 국내과일과 과채는 각각 0.1%, 0.7%씩 감소했다.

# 수입과일 종류와 양 대폭 늘었다

과일수입량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연 6.1%씩 증가해 82만톤에서 124만톤으로 증가했다.
해당 증가폭은 신선과일 수입량이 주도했으며, 그 수치는 22만 톤에서 41만 톤으로 늘어 연평균 증가율이 9.5%에 달한다.
연간 1천 톤 이상 수입되는 과일의 품목 수도 과거에 비해 급격히 늘어났다.
1990년에는 바나나와 자몽뿐이었지만, 2000년에 들어오렌지, 포도, 키위, 파인애플이 추가됐고, 2016년에 들어선 체리, 망고, 아보카도, 석류, 블루베리, 멜론이 추가되며 대표적인 신선과일 수입품종 개수가 13종으로 늘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국산과일이 연간과일 거래량 속에서도 그 비중이 낮아졌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수입산 과일의 비중은 6.9%p 높아졌고 신선과일을 비롯해 베리류, 망고를 중심으로 한 냉동과일도 수입량이 늘었다.

# 관세철폐 타격 과수산업에 집중

특히 관세철폐로 인한 미국산 과일의 저가공세는 소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일은 필수품이 아닌 기호품이라 경제가 어려워지면 지출을 줄이는 품목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과일소비는 외부적인 여건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고, 이에따라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다.
한편 농경연은 2017년 미국산 주요 신선과일의 수입가격은 FTA 미발효 시와 비교하여 오렌지 30.0%, 체리 19.4%, 포도 31.0%, 석류 18.6%, 레몬 23.1%, 자몽 23.1%의 가격 하락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저가 미국산 과일의 범람은 산업에 위기로 작용되는 한편, 미국은 수출량과 품목 증가를 강력히 압박하는 중이다.
미국은 FTA체결 이후 농수산식품부에 블루베리, 체리 등의 수출지역 다변화와 사과와 배 수입금지 철폐를 적극적으로 요청해온 바 있다.

# 과일 수입량은 점점 늘 것

농경연은 오렌지, 포도, 바나나, 파인애플 등의 수입량이 20% 내외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렌지 수입량은 2017년 18만 9천 톤에서 2027년에는 23만 4천 톤으로 24% 증가할 전망이며 포도는 5만 3천 톤에서 6만 6천 톤으로 23% 증가한다고 봤다.
또한 바나나와 파인애플 등 열대과일 수입량은 65만 9천 톤에서 78만 5천 톤으로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운 아보카도, 망고스틴, 두리안, 파파야 등의 품목은 연평균 20% 이상 수입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입은 더욱 확대될 수 있기에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수급조절시 수입과일영향력 제대로 평가해야

수입과일이 국내산 과일을 대체하게 되면서 같은 품목끼리의 경합관계는 무의하다.
따라서 수급은 같은 계절 경쟁을 이루는 수입과일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과일의 영향은 과종과 품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과종에서 복합적인 방향으로 번져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국내산 과일과 수입과일의 소비경합관계를 살펴보면 수입과일의 물량이 10%증가하면 국내산과일가격은 0.5~1.0%하락한다.
겨울에 오렌지 수입이 늘었을 때, 보통 감귤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추측하지만 단감과 배의 가격이 하락했다.
봄철에 수입된 포도는 수박과 참외와 경합을 이루며, 가을 수입포도는 배와 사과 가격에 영향을 준다.
사시사철 수입되는 열대과일인 바나나는 봄에는 수박, 여름에는 포도, 가을에는 사과, 겨울에는 배와 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농경연은 매월 농업관측사업으로 6대과종과 수입과일에 대한 관측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생산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하량을 조사하고, 다양한 변수의 영향력을 평가해 예상되는 가격을 분석한다.
하지만 과수의 경우 영년생 작물이기에 관측결과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하기는 힘들기에 수확기의 가격을 추측하는데 그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생산자의 변화를 주도하는 근거가 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 생산자도 품목·품종 다변화로 수급조절에 적극대응해야

2천여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26%가 수입과일을 선호했고, 맛과 건강기능성, 간편성의 이유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콤달콤한 맛과 과육 특성에 매력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청소년은 우리과일 중 참외와 단감을 외면하는 양상이 뚜렷했으며 간편성을 중요시 했다. 반면 노년층은 건강기능성 과일의 선호도가 높았다.
모든 연령층이 맛을 절대적 선택기준으로 꼽았다. 일단 달콤하고 맛있는 과일이어야 하면서 여러 가지 선택경향에 따른 품목 다변화가 수입과일에 대응하는 대표적 방법이다.
해당 보고서는 높은 당도를 유지하면서 중소과 크기의 껍질이 불편함을 주지 않는 과일이 소비자에게 부담없이 다가갈 수 있다는 결론을 냈다.
아직까지 국내 주요 6대과일의 재배 비중은 압도적인 상황이다.
2016년 6대 주요 과일 재배면적 비중은 2000년 86%에서 2016년 67%로 감소했지만 과일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이다.
하지만 생산자도 위기타개를 위한 품목다변화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타과일의 과일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8%가량이지만 무화과, 자두, 매실, 참다래, 살구, 체리, 아로니아, 플럼코트, 블루베리 등을 중심으로 재배량 면에서는 10년만에 14%에서 33%까지 증가했다.

# 내수기반 마련이 생산자체질 바꾼다

과일의 수급안정을 위해 생산측면에서 중장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면 내수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 먼저다.
수출로 물량전환을 해 내수를 안정시키는 것도 수출물류비 지원을 폐지하게 되면 금세 한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배 소비를 늘리고 산업을 살리기 위해 중소과, 신품종, 다품종 생산, 지베렐린 처리 근절, 소포장 유통 등 생산체계 전환정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경영비 상승과 소득상실시기가 발생하면서 생산자들이 쉽게 정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생산자입장에선 정부정책에 따른 이해와 신뢰가 없이 모험을 감행해야만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러운 생산체질 변경은 정부가 매끄러운 정책실현을 위한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가 지베렐린 처리금지보다 작은과일을 본격적이고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데 힘써 작은 과일로서의 일반화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
이에따라 소과가 대과보다 경영비대비 소득을 높이면 농가입장에서도 지베렐린 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기에 자연스레 생산체질이 바뀔 것은 당연하다.

/김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