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딧물류가 전파하는 식물바이러스와 대책
진딧물류가 전파하는 식물바이러스와 대책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6.12.12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물에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 중 약 30%가 포티바이러스과(Poty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158종이 알려져 있으며 포티바이러스는 200종 이상의 진딧물들에 의해 식물체 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딧물의 구기형태는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서 빨아먹는 흡수형으로 식물체의 체액과 수액을 흡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에서 얻은 식물병원성 바이러스를 침샘에 저장하고 있다가 다른 식물체를 흡즙하는 동안에 구기를 통해서 바이러스를 식물체에 전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의 전파방식은 비영속적인 전파와 영속적인 전파가 있다. 비영속적인 전파는 잎 표면 근처에 있는 조직으로부터 병원성 바이러스를 짧은 시간(1-2분)에 흡즙하여 침샘에 보관하고 있다가 몇 시간 내에 건전한 식물체에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침샘에 보관된 바이러스를 상실하였을 때는 바이러스가 감염된 식물체에서 다시 흡즙하여야만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다.

영속적인 전파는 식물의 체관부나 물관부에 있는 바이러스를 흡즙하기 위해서 여러 시간이 필요하며 흡즙된 바이러스는 진딧물의 몸속에서 순환하여 침샘으로 오기까지 적어도 12시간이 소요된다. 한 번 진딧물의 몸속에 들어온 바이러스는 진딧물이 살아있는 동안 계속 기생하며 진딧물이 다른 식물체를 흡즙하는 동안에 구기를 통해 전파된다. 작물에 영향을 주는 진딧물의 바이러스 전파 방식은 대부분이 비영속적인 전파로 알려져 있다. 진딧물의 입 구조, 기주식물을 탐색하는데 능력, 다양한 기주 범위, 높은 생식능력은 식물병원성 바이러스를 매개하는데 적합한 진딧물류의 생물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적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와 대표적인 작물들은 다음과 같다.

콩과식물(Bean Common Mosaic Virus BCMV, Bean Yellow Mosaic Virus BYMV, Subterranean Clover Stunt Virus SCSV), 배추속 식물(Beet Western Yellow Virus BWYV, Turnip Mosaic Virus TuMV), 가지과 식물(고추 위황병 바이러스 Capsicum Chlorosis Virus CC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 감자Y바이러스 Potato Virus Y PVY), 당근(당근Y바이러스 Carrot Virus Y CVY), 샐러리(샐러리모자이크바이러스 Celery Mosaic Virus CMV), 박과식물(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 Papaya Ringspot Virus W strain PRSV-W,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 Watermelon Mosaic Virus WMV, 호박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ZYMV), 국화과식물(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Lettuce Mosaic Virus LMV, Lettuce Necrotic Yellow Virus LNYV,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Turnip Mosaic Virus TMV), 양파와 부추과식물(양파황화위축바이러스 Onion Yellow Dwarf Virus OYDV, Leek Yellow Stripe Virus LYSV), 옥수수(Johnson Grass Mosaic Virus JGMV), 고구마(Sweetpotato Feathery Mottle Virus SPFMV), 밀(보리황화위축바이러스 Barley Yellow Dwarf Virus BYDV), 감자(감자잎말림바이러스 Potato Leafroll Virus PLRV,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PVY), 토마토(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감자바이러스 Y, PLRV).

감자잎말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복숭아혹진딧물과 보리황화위축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기장테두리진딧물은 바이러스가 감염된 식물체를 선호하며 바이러스가 감염된 식물체를 섭취한 진딧물 성충의 수명은 늘어나고 생식력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를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은 극히 드물며 대신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지연시켜 경제적인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병충해관리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는 첫째 바이러스의 식물체 감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방법이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종자와 묘목을 이용하기, 바이러스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바이러스나 진딧물에 피해를 받은 식물의 지역 간 이동 금지 등이 있다.

둘째 바이러스에 감염 가능한 수준을 줄이는 것이다. 작물재배지역 주변에 바이러스와 진딧물의 대체 기주가 될 수 있는 식물과 잡초 제거하기, 연작시 새로이 재배하는 작물들을 위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기존 작물들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등이 있다.

셋째 작물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것이다. 바이러스 저항성 혹은 바이러스 내성 품종의 개발, 진딧물의 작물 접근과 흡즙을 방해하는 반사피복(reflective mulching)과 오일분무(oil spray), 작물로 유입되는 진딧물 개체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벽식물(barrier plant) 심기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예방 및 방제시스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작물이 재배되는 지역의 지리 생태적 정보와 작물의 생리생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정준<농진청 원예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농업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