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은 늘고! 비용은 줄고!
생산량은 늘고! 비용은 줄고!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6.11.07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량 27.9% 증가 …고용노동비 15.9%·병해충 53.7% 감소

▲ 스마트팜 생산성 분석결과                                                                                                (단위 : 백만불, %)
농식품부, 2016년 스마트팜 성과분석

스마트팜 도입 후 생산량 증가 및 생산비 절감 등 농가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 이하 농식품부)는 첨단과학 영농을 선도하는 스마트 팜에 대한 성과분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정부 보급사업을 통해 시설을 설치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농가 226호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생산성 분석 및 만족도 평가를 진행했으며, 연구 수행을 맡은 서울대학교에서는 분야·지역별 비례배분 할당방식으로 총 84호의 유효표본을 추출, 심층 분석했다.

연구 결과, 먼저 스마트 팜 도입 후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27.9% 향상되었다는 것이 눈에 띈다. 이는 스마트 팜을 통한 생산 증대 효과가 확실히 증명된 것으로, 일반 농가들이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또한 도입 후 2년간의 운영성과 도출이 가능한 스마트 팜 농가들을 추적조사한 결과, 도입 1년차 대비 2년차 생산량은 전년보다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팜 활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생산성이 더욱 높아지는 점을 확인시키고 있다.

이는 운영기간 경과에 따라 농가의 활용능력이 숙련되고, 스마트 팜에서 축적된 각종 데이터를 분석해 보다 정확하게 최적 생육환경을 맞추어 관리하였기 때문이라고 풀이된다.

농식품부는 ’17년까지 생산량 30% 향상을 목표로 농가 맞춤형 교육 및 A/S 강화, 기기 표준화 등 다각적 지원을 통해 네덜란드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스마트 팜은 생산량 향상과 동시에 노동력도 절감시켰는데, 자가노동시간을 연간 278시간에서 234시간으로 15.8% 줄이고, 고용노동비용을 평균 15.9%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 팜의 노동력 절감효과가 자가 노동시간 감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용노동력 감축을 통한 비용 절감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원격제어가 가능해 직접 농장을 찾는 횟수가 줄고, 과학적 관리로 질병을 예방하여 병해충 방제 시간 등을 단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노동생산성 지표인 1인당 생산량은 평균 40.4%나 증가해 단위면적당 생산량 증가율을 상회했다. 연구팀에서는 “농장을 원격·자동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팜은  그동안 노동집약적이었던 우리 농업을 노동절감형 농업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스마트 팜 도입으로 생산량은 27.9% 대폭 향상된 반면, 농약·비료 등 각종 투입 비용은 5.1% 이내로 소폭 증가한 것에 그쳐 스마트 팜 농가들이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이상고온?폭우 등으로 농작물 생장여건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팜 도입농가들은 체계적 경영관리를 통해 전년에 비해 생산량을 늘리고, 비용을 절감하여 농가조수입은 전 작기보다 16.1%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한가지 주목할 만한 내용은 스마트 팜 도입으로 병해충 및 질병 발생 횟수가 평균 53.7%, 그 피해액은 57.3%가 줄어 농가의 경영위험을 상당부분 낮췄다는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가 심화되면서 병해충 및 질병 등 농업생산을 위협하는 각종 재해들이 빈발하고 있지만, 스마트 팜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생육관리를 통해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팜 도입농가들은 ‘자가노동 절감’, ‘경영도움’ 효과에 크게 만족하는 등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스마트 팜 만족도 평가(7점 척도)에서 ‘자가노동 절감’에 평균 6.1점, ‘농업경영 도움’에 5.8점을 주었고, 스마트 팜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평균 6.1점, 도입규모를 더 확대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5.8점을 주는 등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