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 시론 / 사과병해충 예찰사업의 현황과 전망
원예 시론 / 사과병해충 예찰사업의 현황과 전망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0.06.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병해충종합관리 예찰요원(이하 예찰요원)”, 우리에게 너무나 생소한 이 단어가 우리나라 농업 현장에서 사용된 것은 2004년부터이다. 예찰요원들은 사과나무 생육 및 수확기간인 3월부터 11월까지 매 7~10일 간격으로 자기가 맡은 30~40개의 사과원을 방문하여 그 밭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기록, 유지, 관리하는 일을 하게 된다. 이들이 하는 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과원에서 시기별로 발생하는 병해충의 발생 및 피해를 정밀하게 조사하고, 농약의 방제효과 및 약제저항성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전달하는 일, 교미교란제와 같은 첨단·고가인 친환경 자재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기술지원 및 행정·지도·연구 기관 담당자 사이의 유기적인 연락체계를 유지하는 일, 농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운 사항을 듣고 해결해 주는 일, 인터넷 사과사랑동호회(www.iloveapple.co.kr)와 사과종합정보네트워크 (www.apple.go.kr) 내의 각종 자료 입력과 관리 등을 담당하는 것 등을 주요 임무로 하고 있다.이처럼 예찰요원은 농업인의 눈이 되어 그들이 볼 수 없었던 것을 관찰, 기록하고, 농업인의 손과 발이 되어 현장에서 겪는 그들의 어려움을 전달하여 해결책을 찾도록 하며, 때로는 열린 귀와 입이 되어 이웃 밭에서 사용하는 실용적인 기술들의 전파자가 되고, 때로는 그들의 마음이 되어 함께 아파하고, 함께 웃을 수 있는 친구이자 동반자로서 역할을 한다.사과 산업구조 속에서 왜 과수원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일들을 조사하고 기록, 관리해 주는 예찰요원이 필요한가? 하는 물음이 든다.그 이유는 첫째, 사과 재배 농업인의 고령화와 관련이 있다. 농업인구는 이미 65세 인구 비중을 뜻하는 고령화율이 이미 30% 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2006. 통계청, ‘2006년 농업 및 어업 기본 통계조사 결과’)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어느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산업인구의 고령화는 그 산업을 지탱함에 있어서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물론 나이에 상관없이 젊은이들 보다 훨씬 열정적이고 지식이 풍부하며, 경험이 많은 노년층의 사과 재배 농업인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들을 아래에서부터 받치고 그 산업을 영속적으로 이어나갈 젊은 사람들의 부족은 필연적으로 우리 사과 산업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고령화된 농업인들은 아무래도 자신의 사과원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해 조사하고 기록하는 일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시대적 변화에 뒤처지기 쉬우며 급변하는 주변 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스스로 변화하려는 노력이 없다고 해서 이들을 놔두고 앞으로 갈 수는 없으며 최대한 함께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그것이 예찰요원이 필요한 이유라 할 수 있다.둘째는 병해충종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를 실천하기 위해서이다. 병해충종합관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일은 자신의 밭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발생정도를 관찰하는 일이다. 발생예찰 없이 농약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며 발생예찰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병해충 방제는 ‘소발에 쥐잡기’ 식의 농약 살포가 된다. ‘이 약제를 살포하면 병, 해충이 틀림없이 방제가 되겠지!’ 라는 농업인의 마음속 바램과는 전혀 다르게 병해충 피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이미 사과 과실과 잎에서 피해가 나타난 이후에 비로소 약제를 뿌리게 되어 피해는 피해대로 입고 농약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게 된다.우리는 1990년대 이미 이와 같은 방법의 비과학성, 비실효성, 비능률성을 뼈저리게 느껴 왔으며, 그 대가로서 1997년부터 시작된 사과산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약 55% 이상의 사과 재배면적 및 농가수의 감소를 몸으로 체험한바 있다. 지금에 와서 그와 같은 후진적인 체계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는 노릇이며 따라서 예찰요원제도가 사과산업의 한 가지 체계(system)로 자리 잡도록 할 필요가 있다.셋째는 농업 환경의 변화 때문이다. 2010년, 앞으로 3년 후면 우리나라 농업은 우수농산물관리 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체계로 완전히 변화할 것이다. GAP 체계는 시대적 흐름으로 농업 현장에서 이 흐름을 거슬러서는 소비자로부터 인정받는 농산물을 생산할 수 없다. 이러한 GAP 체계로의 변화에서 농가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실천해야 할 요소는 바로 자신의 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지를 기록, 유지, 관리하는 일이다. 예찰요원이 하는 일은 우리 사과 산업구조속에 GAP 체계를 자연스럽게 연착륙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된다.병해충예찰요원의 운영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효과는 사과원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을 조기에 파악하여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음이다. 초기 병해충의 발생정도를 조사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농가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다. 예찰요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