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업·농촌의 근본적 회생방안 마련을 위한 ‘농업·농촌 종합대책 점검 및 조정 워크샵’이 지난 20일 한국농촌공사 연수원에서 20여개 농업인 단체장, 농업관련 기관 및 지자체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이날 워크샵은 지난해 쌀협상비준과정에서 국회에서 제기한 농업·농촌대책의 전면적 재검토 요구에 대해 그동안 농업계와 정부가 추진해온 농업·농촌 종합대책 점검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그동안 농업·농촌 종합대책 점검 및 조정을 위해 농림부는 실무T/F(농림부 차관 단장)를 구성, 작업을 추진해왔으며, 농림부 담당국장과 농업인단체 사무총장급들로 구성된 분야별 실무협의회(식량, 유통, 축산 등 6개반)를 구성해 농업계에서 제안하는 과제들에 대한 검토를 추진해 왔다.이날 워크샵은 그동안 추진된 실무협의회의 논의결과를 종합조정하여 농업계의 의견(현재 총152개 과제)을 종합적으로 수렴하는 자리가 됐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의견수렴의 기회를 가지기로 했다.이날 워크샵의 가장 큰 쟁점은 쌀산업 관련부분으로 지난해에 새로 도입된 공공비축제도를 보완하는 방안, 쌀농가의 소득을 보전하는 직불제도를 보완하는 방안, 쌀자조금제도의 도입방안 등이 논의됐다.농정반은 직접지불제도 확충 및 발전, 중소농 보호대책 수립, 농가등록제도 도입 등에 대해, 통상반은 농업 국제협상과정에서 농업인 참여 확대 방안 등에 대해 토론했다.유통반은 농산물 유통효율화를 위한 과수 도매거래방식 개선방안 등을, 축산반은 한우이력추적제도 확산방안 등에 대해, 농촌반은 여성농업인을 농촌관광·지역개발의 주체로 육성하기 위한 대책 등을 논의했다.그동안의 종합대책 점검과정은 농림부 홈페이지 관련 메뉴와 포탈사이트 다음과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공개되어 의견을 수렴받고 있으며, 이밖에도 국회 농업정책연구회 소속 회원(농해수위 의원 보좌관 포함) 토론회 및 농업전문지 편집국장 간담회를 개최해 제안과제에 대한 해결방안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워크샵에서 논의된 내용은 농업·농촌 종합대책 농림부 초안에 반영되며, 이후 관계부처협의와 당정협의를 통해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