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연구소, 국내개발 심비·팔레놉시스 평가회
원예연구소, 국내개발 심비·팔레놉시스 평가회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01.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는 지난 19일 원예연구소 소회의실에서 화훼 경매사, 유통 및 수출업체, 생산농가, 관련연구원 등 100여명을 초청해 국내에서 개발한 심비디움과 팔레놉시스의 육성품종 및 계통에 대한 평가회를 개최했다.원예연구소에서는 ‘92년부터 난(심비디움, 팔레놉시스) 품종육성 연구에 착수해 ’02년 팔레놉시스 ‘핑크드림‘ 등 2품종을 처음 발표하는 것을 시작으로 ’03년에는 심비디움 4품종이 처음 육성돼 현재 팔레놉시스 8품종, 심비디움 9품종이 증식 및 시범재배 중이다.이번에 개최된 우수계통 및 품종 평가회는 소비지에서 우수 품종임을 평가받고 우리품종의 우수성을 홍보, 보급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평가할 품종 및 우수 계통들은 꽃 색깔이 선명하고 초형이 강건하며 직립형 초형이 특징인 심비디움 자주색계 중형종 ‘퍼플프린세스’ 등 7품종과 팔레놉시스 ‘화이트드림’ 등 3품종, 그리고 대조품종 및 우수계통 25계통으로 평가회에 참석하는 생산농가, 유통업체, 종묘회사, 관련연구원들로부터 기호도를 평가받고 의견을 수렴했다.난 분화는 전체 분화 생산면적의 약 30%, 생산액은 약 40%를 차지하며, 주요 재배품목인 심비디움과 팔레놉시스의 재배면적과 생산액(‘04)은 각각 131ha, 406억원과 70ha, 271억원이다.우리나라에서 양난 재배는 ‘80년대 초이며 ’90년 이후 난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해 ’04년 362ha로 수출이 빠르게 확대되어 ‘04년도 수출액이 10,175천불로 주요 수출화훼 작목으로 급부상하고 있다.WTO 가입 및 UPOV(국제 신품종 보호연맹) 협약 등에 의해 심비디움은 ‘06년부터 품종 보호작목으로 지정되어 있어 국내에서 수출하고 있는 종묘의 대부분을 외국 품종에 의존하는 현시점에서 로열티 지불문제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른 농가의 로열티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우수한 국산 난 품종 육성과 보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원예연구소 화훼과 김영진 과장은 “이번 평가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된 품종 및 계통들은 품종등록 및 농가시범사업을 통해 확대, 보급해 품종의 국산화뿐만 아니라 수출을 확대하고 재배농가의 로열티 부담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