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매취사업 활성화 필요
조합 매취사업 활성화 필요
  • 윤소희
  • 승인 2022.10.06 11: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실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 기여
시기 맞춰 납품 … 소비지 물량조절 효과

농산물 수급조절 정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가는 가운데 효율적인 수급안정을 위해 조합 매취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각 조합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지정 물량을 농가에게 구입해 보다 높은 가격으로 납품할 수 있어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매취사업은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을 조합이 일괄구매해 판매하는 사업으로, 농산물 수매 가격이 결정됨에 따라 최저가격이 보장돼 시장가격 폭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충북원예농협 관계자는 “올해는 이른 추석, 탄저병 유행 등 과일 수급조절이 매우 중요한 상황임에 따라 각 조합에서 매취사업 체계를 구축해 수급조절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며 “농가에게 단가에 사서 내부관리, 마케팅 등을 거쳐 바이어에 높은 가격으로 팔면서 소비지랑 물량 조절을 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충북원예농협에서는 꾸준히 매취사업을 해나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추석 전후로 물량이 많아 가격이 폭락했는데, 매취사업으로 시장시세보다 높게 가격이 형성되는 만큼 고정가격을 미리 제시할 뿐 아니라, 논스톱으로 판매까지 조합이 해 농가 피해가 딱히 없었다”고 했다. 

예산능금농협 관계자는 “매취사업을 매년 실시하고 있는데, 필요한 물건을 시기에 맞춰 구입하고 납품할 수 있어 수급조절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조합원들도 가격이 높게 책정되면 안정적으로 출하할 수 있어 반응이 좋다”고 언급했다.

또 대구경북능금농협 관계자는 “지난해 매취 계약재배 물량이 2만6,823톤으로 이 중 84%가 계약재배 했으며 상자수로 약149만 상자가 된다”며 “과실수급 안정을 위해 매취한 물량이 1만160톤을 비롯해 만생종 매취 계약으로 1만2340톤 등 총 2만2천500톤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1,453농가에 대해 1만1,433톤을 확보해 수급안정에 기여하고 있다”며 “전국으로 사과물량 중 20%에 해당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안성원예농협 관계자는 “추석을 비롯한 대목 시즌에는 매취 방식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수탁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매취·수탁 방식을 혼합해 운영하고 있다”며 “과일 가격안정과 수급조절을 위한 매취사업 활성화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