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치유농업 참여확대 대비책 시급
도시·치유농업 참여확대 대비책 시급
  • 윤소희
  • 승인 2022.02.21 0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체계적인 전문가 양성시스템 구축 등 동반돼야
원예학회, 제16회 원예산업정책토론회 개최
도시농업활동 모습(사진 = 서울시농업기술센터)
도시농업활동 모습(사진 = 서울시농업기술센터)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하는 데 이바지하는 도시농업 및 치유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전문가 양성 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중소도시에서의 관련 사업 확대 등 또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시농업 참여자수는 10년 새 12배 이상으로 급등했으나, 외연적인 확장은 대도시에 한정돼있다는 것이다.

(사)한국원예학회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지난 17~18일 원예산업신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후원으로 ‘원예분야 관련법 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라는 주제로 ‘한국원예학회 제16회 원예산업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원예산업정책토론회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한국원예학회 홈페이지에 발표영상을 탑재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유용권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교수는 지정토론에서 “최근 도시농업은 2010년 대비 2020년의 참여자수가 153천명에서 1,848천명으로 12.1배, 텃밭 면적은 104ha에서 1,060ha로 10.2배 증가해 외연적인 면에서 크게 확대됐으나, 대도시 외 실제 중소도시에서의 도시농업 관련 사업과 활동은 활성화돼있지 않아 대비책이 필요하다”며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도시민 초청 농촌체험 활동’, ‘도-농 교류의 장’과 같은 다양한 사업이 마련돼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치유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각 시도별 ‘치유농업지원센터’ 설치가 필요하고, 치유농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치유농장의 지정, 인증, 및 행·재정적지원, 치유농업사의 재교육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또 박신애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바이오힐링융합학과 교수는 “치유농업 이용자가 해마다 늘어 2030년에는 39만 명, 2040년에는 42만 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며, 점차 치유농업 전문인을 양성할 필요성이 대두돼 치유농업 서비스 전문가 양성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추고 협회를 구성해 치유농업 산업을 보다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며 “치유농업의 확산을 위해 기존 제도와의 연계뿐만 아니라 치유농업서비스를 제공받는 소비자가 직접 비용을 지불하고, 산업과 연결할 수 있는 전달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광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장은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주제발표에서 “도시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작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행위를 농작물을 재배 또는 이용하는 행위로, 수목 또는 화초를 재배하는 행위를 수목, 화초 재배 및 이를 활용한 생활정원 활동을 하는 행위로, 텃밭은 텃밭정원으로 개정해야한다”며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한 치유농업사 양성기관 지정 대상 대학 일원화가 필요하며, 양성기관 확대 지정이나 자격증과 관련 없는 별도의 교육기관을 지정해야하고, 치유농업사 2차 논술 및 약술은 객관식으로 시험 방식을 변경해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