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채소류 농업관측
5월 채소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05.21 18: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추, 5월 출하량 평년대비 5.1% 감소
올해 조생종양파 생산량 평년대비 8% 감소

5월 배추·무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 2024년산 중만생양파 생산량은 전년대비 증가, 마늘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5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9%, 5.1%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겨울배추 감모 증가 등 저장량이 줄어 출하량 전년 대비 22.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봄배추는 생산량 감소로 출하량 전년 대비 17.6% 감소, 노지봄배추는 정식이 지연되어 출하량 전년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5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상품 도매가격은 10,000원/1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전망 = 시설봄무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봄무 생산량은 1만 8천 톤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7.8%, 9.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46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2%, 7.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2,368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7%, 2.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병충해 발생은 미미하여 작황 양호하나, 생육 초기(2월) 잦은 비로 토양 수분 많아 근장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봄무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봄무 생산량은 9만 4천 톤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 평년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재배(의향)면적은 810ha 내외로 전년 대비 9.1% 감소, 평년 수준으로 보이며, 완전노지봄무 주산지 경기·충청지역 전년도 출하기 집중호우로 수익성 악화 지속 및 호남지역은 터널봄무 파종지연에 따른 후기 출하 물량 증가 우려로 재배의향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1,664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2.4% 증가, 평년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터널봄무 파종기 잦은 비로 토양 수분 많아 발아율 증가, 병충해 발생 미미하여 작황이 양호한 편이며, 일부 포전 파종 직후 고온 등의 영향으로 습해가 발생하였으나, 피해는 크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5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상품 도매가격은 17,000원/2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생산전망 = 2024년산 조생종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생종양파 생산량은 19만 7천 톤 내외 전망, 전년 대비 7%, 평년 대비 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2,971ha로 전년 대비 1%, 평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농가 및 모니터 조사, 생산량 실측 포함)는 6,631kg/10a로 전년 대비 7%, 평년 대비 10%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4월 중순까지 출하된 조생종양파 단수는 구 비대 지연 및 조기출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4월 하순 이후 출하될 양파 단수도 전년 대비 감소하나, 이전 출하된 단수보다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산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 생산량은 104만 톤 내외 전망, 전년 대비 4∼9% 증가, 평년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5,858ha 내외로 전년 대비 6%, 평년 대비 4% 증가,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1% 감소 3% 증가, 평년 대비 6∼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결과는 6,688kg/10a로 전년 대비 3% 증가, 평년 대비 6% 감소, 6차 생육 실측(구중) 결과 반영은 6,382kg/10a로 전년 대비 1% 감소, 평년 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5월 양파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300원/kg 내외로 전년 1,150원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전망 = 2024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30만 5천 톤 내외 전망, 전년 대비 2~3%, 평년 대비 6~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23,592ha로 전·평년 대비 각각 4% 감소,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2% 증가, 평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 결과는 1,298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2% 증가, 평년 대비 3% 감소, 6차 생육 실측(구중) 결과 반영은 1,289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2% 증가, 평년 대비 3% 감소, 구 비대기(5월) 기상에 따라 생산량 변동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가격전망 = 5월 깐마늘 가격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6,700원/kg 내외로 재고량 전년 대비 많으나, 5월 중순 이후 출하될 제주 남도종 마늘 작황 부진과 햇마늘 생산 감소 예상 등으로 가격 하락 폭이 크지 않아 전년 6,740원 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저장마늘 출하 지연이나 햇마늘 생리장해 및 병해 발생이 확대될 경우 가격은 전망치보다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대파
△재배의향 = 3~6월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3~6월 재배(의향)면적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금년 정식기 가격 상승으로 재배의향 증가. 전년 출하기와 금년 정식기 가격 상승으로 경기·강원·호남지역 등 주산지 재배(의향)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5월 대파 가격 전년보다 높지만,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2,050원/kg 내외로 겨울대파 출하량 감소로 전년 1,900원 보다 높지만, 봄대파 주산지 작황 회복에 따라 전월 2,020원 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당근
△생산전망 = 봄당근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생산량은 2만 4천 톤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6%, 12.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940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8%, 1.0%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2,514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0%, 11.7%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생육기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으로 근성장 부진하며, 평년 대비 이른 고온 현상으로 추대 발생 시기 또한 빨라 단수기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5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상품 도매가격은 60,000원/2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