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05.21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과, 꽃진 후 탄저병 방제 위한 약제 살포
인삼, 빗물 누수되지 않도록 차광망 설치

△노지고추 = 아주심기가 끝난 고추는 가급적 빨리 지주대를 세우고 줄로 단단하게 고정하여 쓰러짐을 방지한다.
120㎝ 이상 지주 사용, 유인은 2~3분지 정도에서 시작하여 자람에 따라 2~3회 더 작업한다.
고추 착과초기에 우박피해로 분지가 심하게 손상되었을 경우 측지를 유인하여 관리하면 어린묘나 노숙묘를 새로 심는 것보다 유리하다.
아주심기 25~30일 후 고추포기 사이에 구멍을 뚫어 비료를 주고 흙으로 덮어주면 비료 효과가 높아진다.
웃거름 주는 시기와 양은 생육 상태에 따라 조정을 해주도록 한다. 남부지역 4월 중·하순에 심은 고추는 1차 웃거름 주는 시기이다.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곳은 800~1,200배액의 물비료를 웃거름으로 살포한다.
제초 노력을 줄이기 위해 부직포, 흑색비닐, 볏짚 등으로 고추 헛골 피복한다.
터널재배 고추는 줄기가 상부 터널에 닿을 때 비닐을 원형으로 구멍을 뚫어 고추 신초가 올라올 수 있도록 한다.

△마늘 주아재배 = 주아는 인편과 달리 바이러스 감염 밀도가 낮고, 한해 재배로 대량의 통마늘을 수확하여 그다음 해엔 씨마늘로 사용 가능한 구마늘을 수확할 수 있다.
마늘종을 뽑지 않고 키우면 끝부분에 작은 마늘 주아가 50~100여개 달림 → 가을에 심어 다음 해 50원짜리만 한 둥근 통마늘을 수확 → 통마늘을 다시 심어 키우면 일반 구 마늘 수확 가능하다.
통마늘을 얻는데 일 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지만 해마다 주아 재배를 이어서 하게 되면 첫해를 제외하고 해마다 씨마늘로 사용 가능한 구마늘을 수확할 수 있다.
구마늘 수확 직전 또는 동시에 마늘종과 함께 주아를 채취하여 양파망 등에 넣어 파종기까지 통풍이 잘되게 관리해 준다.
일정한 크기의 튼실한 주아만 선별하여 소독 후 파종, 주아 5~10개씩 심어주며 이후 재배관리는 일반 마늘재배와 동일하다.

△열매솎기 = 사과는 만개 2주 후 과일의 정상적인 수정여부가 육안으로 판별되면 솎기를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한다.
배는 생리적 낙과가 지나고 착과가 안정되면 가급적 빨리 실시한다.
복숭아는 예비 솎기는 만개 후 2~3주, 본 솎기는 만개 후 40일 전후, 마무리 솎기는 만개 후 60일 이후 순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병해충 방제 = 사과는 꽃이 진 후 5월 상·중순경 병해 방제는 붉은별무늬병, 곰팡이병, 점무늬낙엽병 등 감염 위험이 있고, 탄저병 방제를 위한 전문 약제 살포한다.
복숭아는 세균구멍병은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하며 과실에 큰 피해를 준다.
탄저병은 4~6월 강수량이 300~400mm 정도로 많은 지역에 다발생한다.
해충은 5월 상순경 복숭아순나방 제1세대 시작하여 실제로 과실을 가해하는 6월 중순부터 예찰 후 발생 초기 방제 필요하다.

△화훼 = 국화 흰녹병 방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흰녹병은 백수병(白銹病)이라고도 불리우며, 영명은 Powdery mildew이며, 학명은 Puccinia horiana으로, 잎에 주로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의 뒷면에 백색의 작은 사마귀 모양 돌기가 생기고 심할 경우 잎이 뒤틀리며 말라죽는다.
흰녹병과 같이 국화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병해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필요하다.

△인삼 = 점무늬병은 5월 이후 줄기, 잎, 열매에서 발병하며 발생 경감을 위해서는 빗물이 두둑 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가 되지 않는 차광망을 설치한다.
잿빛곰팡이병은 인삼의 뿌리, 뇌두, 줄기, 잎, 열매 등 모든 부위에서 나타나며 고온과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증가하므로 고온장해로 잎이 괴사하지 않도록 포장과 차광망을 관리해야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5. 19. ~ 5. 26.) [기상청 발표(’24. 5. 16., 6:00)]
(기온) 아침 기온은 13~19℃, 낮 기온은 23~30℃로 평년(최저기온 11~16℃, 최고기온 22~27℃)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하늘상태) 전국이 대체로 맑은 날이 많겠으나, 24~26일은 구름 많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5. 20. ~ 5. 26.)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21호]
(벼농사) [적기모내기]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하여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 [잡초방제] 논 잡초는 벼 모내기 전·후 2차례 나눠 방제를 실시하며 제초제 살포 후 물을 3~5㎝ 깊이로 최소한 5일 이상 유지
(밭작물) [고구마] 5월 상순~6월 하순에 정식 실시, 묘를 경화시킨 후 삽식해 줌 [콩] 적기 파종, 논 콩 배수구 설치, 파종 후 제초제 처리
(채소) [노지고추] 아주심기 후 저온대비, 우박피해 관리, 지주설치, 웃거름 주기 [고랭지배추] 육묘 시 방충망 피복 및 순화, 뿌리혹병 예방
(과수) [우박피해 대응]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 살균제 살포하여 2차 감염 방지 [열매솎기] 사과는 만개 2주 후부터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 배는 생리적 낙과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 복숭아는 예비·본 열매솎기 실시
(특작) [인삼] 점무늬병, 잿빛곰팡이병 등 생육 시기별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돌풍 피해 포장은 신속히 시설을 보수하고 방제 약제를 살포해 줌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