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70차례 실증한 결과 품질 유지 능력 탁월 확인

금년도 수출물류비 지원 중단과 관련 신선 농산물 수출에 따른 품질 유지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개발 한 시에이(CA) 컨테이너가 주목받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 해 15억 8천만 달러(2022년 기준)에 달하고 있는 신선 농산물 수출은 점차 증가 추세이지만, 항공 수송 물류비가 많이 들고, 배로 이동할 때는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금년도 예정된 수출 물류비 지원 중단으로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와관련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그 해결책으로 온도와 습도,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 대기 환경을 조절하는 CA 저장 기술을 농산물 수송 컨테이너에 적용 화제를 모으고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2023년 한 해 20여 품목에 대한 최적의 CA 조건과 여러 품목을 혼합했을 때의 환경 조건을 설정하고 70차례에 걸쳐 실증했다. 먼저, 3월에 딸기(금실), 포도(샤인머스켓), 만감류(한라봉, 천혜향), 새송이, 고구마, 토마토 7종을 한꺼번에 배에 실어 홍콩으로 수출한 결과, 모든 품목의 품질이 선적 당시 상태와 별반 다르지 않게 유지됨을 확인했다.
또한 5월에는 고구마 태국 수출, 9월에는 캠벨얼리 포도 호주 수출을 처음 시도했는데 두 번 모두 품질이 그대로 유지되고 현지 선호도도 높아 안정적인 선박 수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CA 컨테이너의 수출 비용은 비행기 수출의 20~30% 수준이다. 동남아시아 홍콩까지 딸기 1톤을 비행기로 옮기려면 200만 원가량이 들지만, CA 컨테이너를 이용해 배로 옮기면 40만 원이면 충분하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홍윤표 과장은 “2024년에는 현재 5개 나라에서 11개 나라로 수출국을 확대해 실증할 계획이며, 현장 활용성을 높이고자 시에이(CA) 수출 기술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