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 화단, 이 식물 심으세요”
“길가 화단, 이 식물 심으세요”
  • 권성환
  • 승인 2023.07.26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비추 등 35종, 물에 잠겨도 잎·뿌리·줄기 영향 없어 유리
구절초와 눈개승마, 금계국 등 7종은 식물 회복력 약해
지피식물을 심은 길가 화단
지피식물을 심은 길가 화단

기후변화로 인해 갑작스럽게 세찬 비(폭우)가 내리는 일이 잦은 것과 관련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도심의 길가 화단에 많이 심는 ‘지피식물’ 50종을 대상으로 물에 잠겼을 때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실험, 침수가 잦은 곳에 심으면 유리한 식물을 선정했다. 

연구진은 우리나라에서 길가 화단에 많이 활용되는 지피식물 50종을 대상으로 3일~7일간 물에 잠기는 조건을 만든 뒤, 물 잠김에 따른 식물의 겉모양 변화와 회복력을 실험했다. 

그 결과, 비비추와 옥잠화, 꽃창포, 꿀풀, 벌개미취, 사철채송화(송엽국) 등 35종은 물에 잠긴 뒤에도 잎과 줄기(지상부), 뿌리의 생육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꿩의비름, 감국 등 3종은 줄기와 잎이 시들어 겉이 약간 갈색으로 변하기는 했지만, 뿌리는 정상적으로 자라 회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식물은 물이 빠지고 난 뒤에도 신경 써 관리하면 무난하게 자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구절초, 금계국, 동자꽃, 눈개승마 등 7종은 물에 잠긴 뒤 잎과 줄기, 뿌리 모두 생육이 떨어졌다. 꿩의다리, 갯패랭이, 꽃잔디, 독일붓꽃 등 5종은 겉보기에 변화는 없었지만, 뿌리의 생육이 좋지 않게 나타났다. 여름철 물이 자주 들어차는 화단에는 이런 식물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번 실험 결과는 일반적인 길가 화단 외에 식생형 저영향개발(LID)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저영향개발은 개발로 인해 변화하는 물순환 상태를 자연 친화적인 기법을 활용해 최대한 개발 이전과 가깝게 유지하도록 하는 설계기법이다. 식생형 저영향개발 시설을 만들면 빗물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도로 비점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침수에 따른 지피식물의 생육 특성 정보를 담은 책자를 발간해 도시민과 관련 산업계에 보급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