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안전한 복합·첨단영농기반 조성, 10년계획 수립
정부는 지난 26일 쌀 수급 불균형 해소, 논 타작물 재배확대, 스마트팜 확산, 디지털화 등 농정방향 전환과 가뭄·홍수 등 기후변화 위기 등 대내외 여건 변화에 맞추어 향후 10개년간의 추진방향을 담은 ‘2023-2032 농업생산기반 정비계획’(이하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세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이번 정비계획으로 쌀 생산 중심에서 다양한 작물재배가 가능한 복합·첨단영농기반이 조성되고, ICT 기술을 접목한 계측·데이터 기반의 농업용수 관리가 이뤄지는 한편, 빈번해지는 홍수와 가뭄에도 안전한 농업생산기반이 정비되고 우리 농업·농촌 환경의 자연성이 회복될 것이다.
농식품부는 논에 시설원예나 밭작물 재배가 늘어나는 변화에 맞추어 논에 다양한 작물재배가 가능하도록 밭작물 재배지역 배수개선 대상지를 30만 3천 ha에서 32만 ha로 1만 7천 ha 확대하고 ‘27년까지 농경지 침수위험지도도 제작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논에 재배되는 시설원예 등 밭작물에 맞춤형 용수공급을 위해 수질(철분 등)이 좋지 않고 수량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맑은 물 공급사업’을 추진하고, 기존 지표수 개발 이외에도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댐 등 지하수를 활용한 용수공급사업도 새롭게 추진할 방침이다.
간척지에 쌀 외 다양한 작물 재배 유도를 위해 ‘23년부터 간척지에 타 작물 재배구역 단지를 지정·운영하고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세부적인 활용계획을 ’25년까지 수립해 첨단영농이 가능한 기반으로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농식품부 전한영 식량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정비계획은 쌀 중심에서 논에 다양한 작물재배가 가능하도록 정비하고 스마트팜 등 첨단영농기반을 지원하며 청년농 등 미래농업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 마련된 세부과제에 대해서는 세부이행계획 수립 및 실적평가를 통해 실행력을 높여 나가고 제도개선, 설계기준 개편, 연구개발(R&D) 강화 등을 통해 추진체계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