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유전자 억제시 非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가능
비만유전자 억제시 非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가능
  • 권성환
  • 승인 2023.06.01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 낮출시 지방세포 수와 혈중 중성지질 농도 크기 감소
식품연, 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방안 발표

비만 관련 유전자의 억제를 통해 비(非)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비만 생쥐(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Cmip)의 발현을 낮추자 생쥐의 간세포 내 지방세포 수와 크기 감소, 중성지방 감소 등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형희)은 비만 생쥐에서 Cmip(C-malf inducing protein)란 유전자의 발현이 높다는 사실과, 이 변화가 메틸화(化) 조절이란 후성유전학적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는 식품기능연구본부 맞춤형식이연구단 최효경 책임연구원 연구팀의 연구 결과로, 국제적인 학술지 ‘실험 및 분자의학’(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흔히 서구식 식단으로 통하는 고지방ㆍ고당 사료를 12주간 제공해 일부러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일으켰다. 최 박사팀은 이로 인해 비만해진 생쥐의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로 여겨지는 Cmip 유전자의 메틸화(化) 수준이 낮으며, 유전자 발현이 크게 높아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DNA 메틸화 효소 발현 조절을 이용, Cmip 유전자 메틸화(化)가 Cmip 유전자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비만 호르몬’으로 통하는 렙틴(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질환 생쥐의 간조직에서도 Cmip의 메틸화(化)가 Cmip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실제로 비만 생쥐의 Cmip 유전자를 억제하자, 생쥐의 간 조직에서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 감소, 혈중 중성지방이 감소했다.

최 박사는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준 것,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감소한 것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개선됐다는 것을 뜻한다”며 “Cmip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ㆍ예방ㆍ치료를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앞으로 Cmip 메틸화(化) 유도를 통한 유전자 발현 억제를 이용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ㆍ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영양 소재를 발굴하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