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 연구 통해 밝혀
2019년 기준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총 배출량의 약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 간 국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외부사업 등과 같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주로 농업생산 부문에 집중되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이에 실제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를 반영한 식품가공과 소비 부문의 감축 전략을 수립하는 등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이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 연구를 통해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홍연아 부연구위원은 “이 연구는 그간 다루지 않은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 정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 제시와 효과 분석에 의의가 있다”며, “공공 및 민간 주체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국내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발생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9년 기준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12.1백만 톤CO2-eq이며, 이는 한국 총 배출량의 약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물 재배 및 가축 사육의 비에너지 배출량(약 21.0백만 톤CO2-eq)에 비해, 음식점업, 식품 유통, 음식료품 제조업과 같은 에너지 부문의 배출량(약 83.4백만 톤CO2-eq)이 약 4배 수준으로 나타나, 그간 농업생산 부문에 초점을 맞춰왔던 온실가스 감축 정책 효과가 제한적인 것이 확인됐다. 따라서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실제 식품시스템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를 반영한 목표 재설정이 필요하며, 식품가공과 소비 부문의 에너지 사용과 관련한 감축 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