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이용 재배지서 LMO 정밀진단 가능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최첨단 유전체 분석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종자용 유전자변형생물체를 현장에서 초고속으로 정밀진단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고 특허출원했으며, 관련 기술을 민간에게 보급한다고 밝혔다.
유전자변형생물체는 1990년대 작물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개발돼 상업화된 이후, 농업·식품·환경·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는 약 30작물 503품목의 유전자변형생물체가 국내외적으로 승인돼 작물의 생산량 증가·식량난 해결·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종자용 유채 및 면화는 자연경관용·축제지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재배용으로는 국내에서 승인되지 않았음에도, 유전자변형생물체가 계속해서 발견되는 등 LMO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돼 재배지 현장에서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됐다.
종자원에서 개발한 유채 및 면화의 유전자변형생물체 진단법은 재배지에서 초고속으로 정밀진단(PCR) 분석이 가능한 기술(POCT)로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실험실 기반의 분석법에 비해 정확도는 동일하나 시간(23시간 → 50분)과 비용(6만원→1만원)을 크게 감축했으며, 민간에게 기술이전이 용이한 장점과 모바일을 이용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결과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번에 개발한 초고속 현장 정밀진단분석법은 향후 다양한 유전자변형생물체 작물에 대한 분석법 개발로 국민 불안감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