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결의대회 실시 … 쌀 수급안정 총력

쌀 적정생산을 목표로 정부와 지자체, 농업인단체가 협력하기 위해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올해 ‘쌀 적정생산대책’의 농가 참여 확대 등을 위해 지난 13일 세종시 소재 NH농협생명 세종교육원(대강당)에서 ‘2023년도 쌀 적정생산대책’ 업무협약 체결 및 성공 결의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업무협약 체결에는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농협경제지주·쌀전업농중앙연합회·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쌀생산자협회·국산콩생산자협회·한우협회·낙농육우협회·조사료협회 등 관계 기관·단체가 참여해 올해 쌀 적정생산을 위해 상호 협력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면적 3만7천ha 감축을 목표로 ‘쌀 적정생산 대책’ 추진 및 관련기관 단체 간 협력에 필요한 사항을 총괄 지원하고, 농진청에서는 타작물 재배기술 지원 및 홍보와 고품질 품종 개발 및 보급 등을 위해 노력하며, 농협경제지주는 콩·조사료 등 타작물의 계약재배, 판로확보, 수급안정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
또한 쌀전업농중앙연합회, 들녁경영체중앙연합회, 쌀생산자협회, 국산콩생산자협회는 회원 농가의 책임감 있는 참여를 위해 자체 벼 재배면적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노력키로 했다.
업무협약 이후 쌀 적정생산 대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다짐하는 결의대회가 이어졌다.
정부, 지자체, 농업인단체 등 참석자 전원은 ▲선제적으로 벼 재배면적을 줄여 쌀값 안정을 달성 ▲논 활용체계를 다양화하여 농가소득 제고와 식량자급률 향상 도모 ▲쌀 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전환하기로 다짐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김정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업무협약식 및 결의대회 참석자들을 격려하면서 “정부는 원활한 대책 추진을 위해 종자공급, 기술지원, 판로확보 등 농가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