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 전국먹거리연대 등 단체의 소속 회원 200여명이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 추경예산 편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2일 국회 본청 앞에서 ‘먹거리공공성 강화,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사업 추경 편성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정부가 그간 국민건강 증진, 환경보전, 농업 활성화를 위해 이른바 먹거리 지원사업들을 추진해 왔으나 올해 국가 예산에서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과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사업’이 전액 삭감됨에 따라 임산부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 먹거리 지원사업의 추진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에서 마련됐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해당 사업들은 임산부, 어린이, 저소득층 등 사회적 관심과 돌봄이 필요한 계층에게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기본권을 확대하고, 사회가치를 구현하며 환경가치를 확산시키는 동시에 먹거리 선순환 구조를 정착하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예산을 전액 삭감시켰다”며 “2월 임시국회에서 정치권은 추경을 통해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이 복원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생물 다양성 증진과 환경 복원 등 탄소 중립의 완성을 위해 전 세계가 친환경 농업을 확산하고 있는 추세에서 친환경 농가에게는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여 지구를 살리고 농업·농촌·농민을 보호하는 효과적인 사업이 결코 좌초되어서는 안될 것이다”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미래세대와 임산부, 성장기 어린이와 농민, 사회구성원 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작년 한해 농가소득과 직결된 쌀값이 폭락하여 농민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상황은 진행 중이다”라며 “작년과 같은 상황이 반복되어서는 안 되며, 쌀을 포함한 식량정책 변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사회적 돌봄 대상에 대한 지원이 당연한 의무임을 밝히고 이번 임시국회에서 추경 예산으로 확정될 수 있도록 여야가 초당적인 협력을 기울일 것을 강력히 촉구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