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식량·기후위기 극복 위해 K-농업 전파
전세계 식량·기후위기 극복 위해 K-농업 전파
  • 윤소희
  • 승인 2023.01.11 1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 추진전략 수립

정부는 지난 10일 외교부장관 주재 제5차 무상개발협력전략회의를 통해 농업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전략(안)을 의결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량 및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한국이 농업 분야 개발 협력을 통해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는 한편, 식량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국가로서 농업발전 성과를 전 세계에 확산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수립하고 한국의 농업발전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공적개발원조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농업 공적개발원조 전략을 수립했다.

농업 공적개발원조 전략은 공적개발원조 규모 확대 및 지역별 중점 분야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공적개발원조 브랜드 사업 발굴, 국제기구 협력 강화, 민간 참여 활성화, 추진 기반 내실화 등 전략 분야별 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전 부처 농업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2027년까지 2배 확대한다는 목표하에, 개발도상국 수요와 우리의 외교정책을 고려해 국가별·지역별로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및 디지털농업 확산, 쌀 생산 역량강화 등 차별화된 협력 분야를 설정 추진한다.

이에 따라 한국 농업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전략적 브랜드 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 아프리카 지역에는 한국형 쌀 생산벨트(‘K-라이스벨트’)를 구축하고, 아시아 지역에는 한국형 지능형농장(‘K-스마트팜’)과 디지털 농업행정·정보통계 시스템 구축(‘K-디지털농업’)을 지원해 생산성과 농업정책 역량 강화를 돕는다. 

또한 전 세계가 공동으로 직면한 식량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기구와의 협력도 강화하며, 민간의 역량을 농업 공적개발원조에 활용할 수 있는 통로를 확대하고, 농업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추진 기반을 내실화한다.

정부는 이번 추진전략에 포함된 과제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세부 방안을 구체화하고, 농업 공적개발원조 확대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