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독자적 표준 마련돼야
스마트팜 독자적 표준 마련돼야
  • 권성환
  • 승인 2023.01.04 1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합환경제어기·양액기·센서 등 비표준 ICT 기자재 난립
유지·보수·제품간 호환 어려워 현장 애로사항 발생
본지 신년특집 지상좌담회 개최

스마트팜 산업 발전을 위한 독자적인 표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최근 스마트팜이 확산됨에 따라 복합환경제어기, 양액기, 센서 등을 비롯해 비표준 ICT 기자재가 난립하면서 유지·보수, 제품 간 호환 등이 어려워 다양한 현장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가 개최한 신년특집 지상좌담회에서 성제훈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장은 “업체별 특성에 맞게 보급한 시설이 있기에, 이를 일괄적으로 표준을 적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스마트농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표준은 꼭 필요하기에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 하다”며 “우선 정부에서 보급을 지원하는 품목부터 표준을 적용하도록 하고, 농진청에서 위탁받은 농업용전자통신분야 표준 지정업무에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단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김인식 코리아디지탈 고문은 “표준화 추진과정에서 ‘산학연’이 중심이 되었는 바, 최종 소비자인 농업인(대변단체)가 빠져 있어 호환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며 “예컨데 온습도·CO₂ 센서 등, 사용전압을 5V, 12V, 24V를 모두 표준 규격으로 제정하고, 연결 커넥터를 동일한 4핀 규격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를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사고발생을 유도했거나, 사실상 호환이 되지 않도록 방조한 결과가 된다. 표준화의 목적인 제품의 균질성과 호환성 차원에서 본다면 아직 반쪽짜리 표준 일 수밖에 없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유명철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사무총장은 “농업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자재 표준화를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업들이 표준화된 우수 기자재 공급과 책임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일기 광주원예농협 조합장은 “스마트팜은 농업현장의 데이터를 컴퓨터가 수집 분석해”라며 “영농시설을 제어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며 “설치업체의 부도와 관련 기술의 발달로 기존 설치 시설이 진부화 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농업인의 부담이다. 관련 부처에서 하루빨리 표준규격을 정하여 업체 간 중요한 시설은 호환이 되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신정훈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회장은 “특정 단체나 스마트팜 다부처 사업단에서 개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인증제도를 통하여 신뢰를 확보하는 등 기업의 기술보완을 유지하면서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준한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농업정책과장은 “스마트팜 ICT기자재의 호환성·신뢰성 확보와 품질 향상 등을 위해 분야별 표준을 마련하고, 산업발전 초기 시장규모와 기술 부족 등을 고려하여 표준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상좌담회에서는 스마트팜 초기 투입비용 문제, 데이터 표준 적용 미흡, 양액·그로우백 보조 지원, 제도개선 등이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