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회장 이성희) 농협경제연구소는 ‘여성 귀농·귀촌 트렌드와 시사점’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역소멸 방지를 위한 기존 정책모델링이 주로 남성 가구주 위주로 대안이 제시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성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여성 귀농·귀촌 트렌드 ▲여성 귀농·귀촌인 사례를 통한 부문별 애로사항 ▲여성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자체와 농협의 역할로 구성돼 있다.
여성 귀농·귀촌인 총 인원은 통계작성을 시작한 2013년 20만4,789명에서 2021년 23만8,980명으로 16.7% 증가했고, 전체 귀농·귀촌인 51만5,434명 중 여성비율이 46.4%(2021년 기준)로 나타나고 있다.
이중, 귀농 부문 여성 가구주 비율이 2013년 29.8%에서 2021년 32.8%로 증가할 때 여성 동반인원 비율은 25.3%에서 16.2%로 감소했는데, 여성 주도적인 귀농·귀촌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여성 귀촌의 경우 30대 이하가 2013년 44.6%에서 2021년 42.4%로 높은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1인가구 여성 귀촌 비율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목할 점은, 40대 이하 여성 귀촌 가구주는 기존 지역사회 네트워크 참여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SNS 기반의 네트워크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농촌사회 네트워크 형성 방식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유형석 부연구위원은 “여성 귀농·귀촌 감소는 지역소멸 가속화를 의미한다”며, “여성 귀농·귀촌 트렌드 변화에 주목해야 하며, 애로사항 해결에 중점을 두어여 할 시기”라고 의견을 밝혔다.
농협경제연구소, 여성 귀농·귀촌인 관점 애로사항 발굴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