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온라인 언급량 ↑ … 관심도 증가세
귀농·귀촌 온라인 언급량 ↑ … 관심도 증가세
  • 윤소희
  • 승인 2022.12.21 1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정원, 귀농·귀촌 키워드 분석 결과 발표
온라인 데이터 분석한 FATI 보고서 6호 발간

귀농·귀촌 키워드 분석 결과, 온라인에서 귀농·귀촌에 대한 언급량과 관심도가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이 ‘귀농·귀촌’과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를 분석한 ‘FATI(Farm Trend&Issue)’ 보고서 6호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2019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4년간 온라인 뉴스,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 게시된 45만 건 이상의 데이터가 활용됐다.

농정원은 인구 감소에 따른 농촌 지역 소멸 우려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귀농·귀촌 및 관련 정책에 대한 연도별 주요 언급 내용과 언론보도, 여론 반응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2019년에는 귀농·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자체별 홍보 활동이 활발했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행사가 취소되는 등 정책 홍보가 다소 침체되는 경향을 보였다.

2021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에서 살아보기 등 도시민이 직접 농촌을 체험해보고 정착할 수 있는 지원 사업이 도입되며 귀농·귀촌의 언급량이 증가하고 관심도가 증가했다.

이와 함께 귀농·귀촌에 대한 긍정 여론도 증가했는데, 2020년에는 코로나 전파 우려, 귀농·귀촌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긍정 여론이 14%에 불과했으나 2021년부터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시행, 단계적 일상 회복 등의 영향으로 점차 증가 추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언론에서는 도시민의 농촌 정착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농촌에서 살아보기, 귀농·귀촌인 대상 정착 지원 제도, 박람회 등 온·오프라인 행사 관련 내용을 많이 다뤘다.

한편, 귀농·귀촌 준비 시 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내용과 혜택, 자격, 절차 등이 있었으며, 특히 체험·실습 중심의 교육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익숙한 도시를 떠나 낯선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농정원은 보고서는 평일은 도시, 주말을 농촌에 머무는 ‘미니멀 귀농·귀촌’ 등 새로운 형태의 라이프 스타일과 비대면으로 귀농·귀촌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지자체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농정원 이종순 원장은 “최근 라이프 스타일과 주거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귀농·귀촌 정책이 필요하다”며 “농정원은 귀농·귀촌 희망자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관심 단계부터 실행, 정착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