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과일류 농업관측
12월 과일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12.14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노지온주 생산량 전년대비 3% 감소
12월 단감 출하량 전년대비 11% 증가

2022년산 사과·배 저장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저장추정 = 2022년산 사과 저장량 전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 저장량은 후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2% 증가한 28만 4천 톤 내외로 추정되며, 11월 출하 물량 증가에 따른 산지 포전거래 둔화 등으로 저장 의향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출하전망 = 12월 사과 출하량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및 내년 1월 이후 사과 출하량은 후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각각 1%,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 설(2023.1.22.) 성수기를 위해 1월 이후 출하하려는 농가 의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후지 가격 전년 31,0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후지 도매가격은 30,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

■배
△저장추정 = 2022년산 배 저장량 전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배 저장량(12월~내년 7월)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12만 7천 톤 내외로 추정되며, 추석 전후 소비 부진으로 잔여 물량 많고, 저장성(경도) 좋아 설 명절 출하 의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 배 전체 저장량 중 대과(1~2단) 및 정품과 비율 전년 대비 각각 2%p, 10%p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하전망 = 12월 배 출하량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및 내년 1월 배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각각 11%, 2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신고 가격 전년 46,9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신고 도매가격은 34,000~38,000원/15kg 내외로 전망된다.

■감귤
△생산전망 = 2022년 노지온주 생산량 전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온주 생산량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45만 1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노지온주 재배면적 수익성 저하로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면적 비중 큰 서귀포시 해거리현상과 생리낙과량 증가 등으로 단수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2월 노지온주 출하량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노지온주 출하량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큰 일교차로 착색 빨라 조기 출하 의향 높으나, 생산량 줄어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1월 이후 노지온주 출하량은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3%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노지온주 가격 전년 9,100원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노지온주 도매가격은 9,500~ 10,500원/5kg 내외로 전망되며, 재배법과 품종에 따른 품위 달라 등급 간 가격 격차 확대가 예측된다.

■단감
△생산추정 = 2022년 단감 생산량 전년 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감 생산량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11만 6천 톤 내외로 추정되며, 착과수 증가 및 생육기 작황 양호로 단수 전년 대비 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수확기 가뭄으로 과 비대가 부진하여 중소과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2월 단감 출하량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및 내년 1월 이후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 대비 각각 11%, 3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전년은 생육기 잦은 강우로 탄저병이 늘어 저장량이 감소하였으나, 금년은 품질 양호로 저장 의향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 수확기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설 성수기 출하 집중이 예측된다.
△가격전망 = 12월 부유 가격 전년 40,9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부유 도매가격은 26,000~30,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

■포도
△면적전망 = 2023년 포도 재배면적 전년 대비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목면적은 샤인머스캣 유목의 성목화로 전년 대비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목면적은 캠벨얼리·거봉 등은 감소하겠으나, 샤인머스캣 성목화로 전년 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작형별로 비가림·노지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하나, 시설은 전년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 노지 포도 가격 하락으로 수확이 빠른 시설 작형 재배 의향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최근 유류비 상승 영향으로 무가온 시설면적가 전년 대비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 캠벨얼리와 거봉류, MBA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다만, 최근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거봉 재배면적 감소세 둔화가 전망된다.
샤인머스캣·델라웨어·기타 품종은 전년 대비 각각 8%, 3%,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샤인머스캣은 최근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재배면적 증가세 둔화가 전망되며, 델라웨어는 면적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신규 과원 재배 의향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적색계(루비로망·홍주씨들리스·마이하트·BK씨들리스 등) 품종 및 조기 출하 품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복숭아
△면적전망 = 2023년 복숭아 재배면적 전년 대비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목면적은 품종 갱신으로 신규 식재가 늘어 전년 대비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목면적은 폐원 증가, 품목 전환(샤인머스캣 등), 품종 갱신 등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 유모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 천도계 재배면적은 2%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신비·옐로드림 등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천도계 신품종 식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영·호남지역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1% 증가, 경기·충청 지역은 각각 2%,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남지역은 타 품목(샤인머스캣 등) 가격 하락으로 복숭아 전환 의향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충청지역은 집중호우, 장마 등 연속된 이상 기후로 폐원 및 샤인머스캣 등 품목 전환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