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를 감축한 53농가가 감축실적을 거래해 총 9억9천7백만원(평균 4.5년간)의 신소득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농진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관장하는 농업부문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운영기관으로, ’17년부터 온실가스 감축농가를 외부사업에 등록하고, 감축실적 승인을 위해 힘써왔다.
대상농가는 저탄소 농업기술 중 히트펌프(지열, 공기열)를 활용해 외부사업에 등록된 농가로, 온실가스 감축실적으로 총 42,760톤CO2를 인증 받았으며, 농진원은 이를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와 거래할 수 있게 지원해 농가당 연간 평균 603만원의 신소득을 창출했다.
이 중 11농가는 올해 말까지 감축실적을 상쇄배출권(KCU)으로 전환해야 하는 농가이나, 자발적으로 거래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농진원에서 구매기업(포천민자발전)을 연계해 감축실적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외 42농가는 농진원-서부발전-제주도농업기술원이 상생협력을 추진한 제주지역 시범사업 농가로, 감축실적을 인증받으면 서부발전에서 검증비 지원 및 감축실적을 구매해 주는 혜택을 보고 있다.
특히, 겨울철 하우스 난방에 많이 쓰이는 면세등유는 2020년 10월 600원대에서 지난달 1천400원을 돌파해, 불과 2년 만에 2배 이상 뛰었다.
농가는 지열·공기열 히트펌프를 활용해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농가당 연간 평균 27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연간 8,000만원(면세등유 745원/L 가정) 정도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농가당 연간 평균 603만원 신소득 창출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