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당근 출하량 전·평년대비 하락
김장철 배추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 건고추·마늘 가격 평년보다 높으나,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김장철인 11~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11.8% 증가, 평년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작황이 크게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 비중 큰 가을배추 생산량 증가로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상품 도매가격은 7,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하락, 평년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가을배추 작황은 전년 대비 양호하고 출하가 전국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가격 가을배추 출하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
△출하전망 = 11월 출하량 전년 수준,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가을무 출하량은 전년 수준, 평년 대비 1.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평년 대비 가을무 생산량 감소로 11월 출하량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 및 겨울무 생산량 감소로 12월 출하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하여 전년 수준인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외대무 도매가격은 11,500원/20kg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수준,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외대무 가격은 김장철 본격 출하로 전월보다는 하락하여 전년 수준이 전망된다.
모니터 조사 결과, 다발무는 전년(718만 원)과 비슷, 평년(636만 원) 대비 상승 전망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가격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저장동향 = 2022년산 양파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말 기준 재고량은 40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9.0%, 평년 대비 15.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중만생종양파 입고량은 61만 5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4.5%, 평년 대비 10.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누적 출고량은 16만 7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2% 감소, 평년 대비 9.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저장업체 출하조절로 10월 출고량 전년보다 14% 적은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1월 양파 가격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5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출하 조절로 공급량이 적으나 수급안정을 위한 대책 시행 영향으로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김장 수급 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3,600톤을 매주 240~500톤씩 방출할 계획이다.
■마늘
△저장동향 = 2022년산 난지형 마늘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말 기준 재고량은 7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2%, 평년 대비 13.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난지형 마늘 입고량은 9만 1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5.8%, 평년 대비 15.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누적 출고량은 1만 6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8.4%, 평년 대비 21.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가격 하락 추세로 저장업체 출고가 원활하지 않아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입고가격(10. 20.)은 남도종 5,200원/kg 내외, 대서종 5,0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깐마늘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8,1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재고량 전년 대비 소폭 적으나, 정부 비축물량 시장방출(김장철 수급안정 대책 시행)과 민간 수입 물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및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김장 수급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5천 톤을 깐마늘로 가공하여 대형마트 등에 공급할 계획이다.
■대파
△출하전망 = 11월 대파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5.8% 감소,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1% 증가, 경기·호남지역 재배면적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6.9% 감소, 금년 여름 폭우와 태풍 등의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1월 대파 가격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85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김장철 수요가 증가하는 중순 이후 가격은 영광 일부 지역 출하되면서 상순 대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고추
△생산전망 =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6만 3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21.6%, 평년 대비 10.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재배면적은 29,770ha 내외로 보이며, 전년 대비 10.8%, 평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211kg/10a 내외, 전년 대비 11.6%, 평년 대비 7.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정식 초기 가뭄 및 여름철 기상 여건 악화로 전체 수확량이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건고추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화건 상품 도매가격은 13,000원/600g 내외이며,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높으나,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김장 수급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1,400톤을 매주 500톤 내외 방출할 계획이다.
■당근
△출하전망 = 11월 당근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6.5%, 15.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3.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 비중이 큰 가을당근 재배면적 줄어 출하면적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8.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여름 고랭지 및 가을당근 생육기 기상여건 악화(잦은 비)로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 및 단수 감소로 11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상품 도매가격은 45,000원/20kg 내외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