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스마트팜 표준화 절실
정부 주도 스마트팜 표준화 절실
  • 조형익
  • 승인 2022.11.02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화, 기후변화 등 농업문제
해결 위해 스마스팜 확산 시급
스마트팜산업협회, 표준화 공청회 개최
한국스마트팜산업회가 지난달 28일 스마트팜표준화를 위한 공청회를 대전선샤인호텔에 개최했다.
한국스마트팜산업회가 지난달 28일 스마트팜표준화를 위한 공청회를 대전선샤인호텔에 개최했다.

한국스마트팜산업회(회장 박현출)가 지난달 28일 스마트팜표준화를 위한 공청회를 대전선샤인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날 공청회는 박현출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장, 여현 순천대 교수, 권병철 농림축산식품부 사무관, 이혜림 농촌진흥청 연구관 등을 비롯해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권병철 농식품부 사무관의 ‘스마트팜정책사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가속화로 고령화·기후변화 등 농업문제에 대응을 해 나가고 있다”며 “농업의 생산성·지속가능성·회복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 스마트 농업기술·서비스산업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 농업 혁신 민간주체 육성, 품목별 스마트농업 도입확산, 스마트농업 성장 기반을 3대 추진전력으로 삼아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최강웅 농업기술진흥원 연구원은 ‘스마트팜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지원 사업소개’의 주제발표에서 “국가표준을 적용한 스마트팜 부품 및 장비의 신속한 현장 확산을 지원해 관련기술의 품질향상 및 스마트농업 전후방 산업을 활성화 해 나가고자 한다”며 “단체· 국가표준을 제정하는데 최대 24개월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지만 시설원예 냉난방기 등 22종 및 축산 19종 등 스마트팜 보급사업 대상품목을 우선적으로 국가표준을 정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는 영농규모가 크고 민간 기업이 중심이 돼 성장해온 해외 농업선진국과는 달리 소농과 영세 소규모 기업이 다수인 우리나라는 정부주도의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윤성현 전자통신연구원 책임은 ‘엣지-IoT크라우드 관제서비스 표준개념 소개’라는 주제발표에서 “스마트팜 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 요구사항 및 기능구조는 국제표준이 오래 7월 신규과제로 제안이 채택됐고 2023년에 표준제정이 완료될 예정에 있다”며 “국내표준은 올 12월 신규과제로 제안이 완료되고 내년 12월에 표준이 정립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흔동 지농대표는 “주산지 작물 중심의 데이터 수집 및 해당 지역에 특화된 작물모델을 개발해 영농의사를 결정지원하게 될 것”이라며 “지역맞춤형의 재배가이드 및 작물컨설팅 도구를 개발해 컨설팅 경험과 도구의 공유하는 등 스마트농업을 발전해 나가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는 농산업체 제품간 호환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및 시설확장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저가·저품질 센서 등의 확산으로 인해 농업인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어서 표준화 제정을 통한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해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