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채소류 농업관측
10월 채소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10.26 1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을배추 출하량 평년대비 감소 전망
대파 10월 출하량 전년대비 7.9% 감소

가을배추·무 생산량 평년 수준 전망, 2023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 증가, 양파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평년 대비 감소, 11월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배추 생육 지연으로 출하량이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10월 출하 지연된 물량 및 호남지역 가을배추 본격 출하로 김장철인 11월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상품 도매가격은 9,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생육 지연된 준고랭지2기작배추 본격 출하와 가을배추 출하 시작으로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가격은 가을배추 본격 출하로 평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차기작형 = 겨울배추 재배(의향)면적 전년과 비슷,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배추 재배(의향)면적은 3,684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수준,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배추 주산지 해남은 가을배추 전환으로 4% 감소, 진도는 겨울대파에서 작목 전환으로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평년 대비 감소, 11월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준고랭지2기작무 생산량 감소, 가을일반무 생육 지연으로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가을일반무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을일반무 본격 출하로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도매가격은 21,000원/20kg 내외로 전망되며, 준고랭지2기작무 본격 출하로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도매가격은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차기작형 = 겨울무 재배(의향)면적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무 재배(의향)면적은 5,513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4%, 10.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휴경 및 연작피해 우려로 재배(의향)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9월 상순 태풍(힌남노)의 영향으로 유실 및 침수 피해가 일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양파
△저장동향 = 2022년산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중만생종양파 입고량은 61만5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4.5%, 평년 대비 10.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말 기준 재고량은 47만6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8.2%, 평년 대비 14.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고량은 9만2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2.2%, 평년 대비 21.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가격하락 우려, 품위저하 등으로 출하초기 8월 출하량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양파 가격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45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재고량 적으나 수급안정을 위한 대책 시행 영향으로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재배의향 = 2023년산 양파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산 재배의향면적은 16,885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3.6%, 평년 대비 13.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확 초기 가격이 낮아 농가 소득 악화로 재배의향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조생종양파는 2,880ha 내외로 보이며, 전년 대비 3.2% 감소, 제주지역은 재배의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중만생종양파는 14,005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3.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저장동향 = 2022년산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고량은 8만2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2.8%, 평년 대비 13.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난지형 마늘 생산량 감소에 따른 입고량은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전년 대비 5.8%, 평년 대비 15.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고량은 7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2.9%, 평년 대비 29.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입고가격(9. 20.)은 남도종 5,200원/kg 내외, 대서종 5,0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깐마늘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8,2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재고량은 적으나, 정부 비축물량 시장방출 등 정부 수급대책 시행으로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 = 2023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재배(의향)면적은 24,213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2.2% 증가, 평년 대비 6.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형 4,649ha 내외로 전망, 전년 대비 0.5% 증가, 난지형은 19,564ha 내외로 전망, 전년 대비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7.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5.1%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도 재배면적 증가 및 출하 지연이 있었다.
단수는 전년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 전·평년보다 큰 일교차로 노균병, 잿빛 곰팡이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대파 가격 전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85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고랭지대파 출하면적이 증가하나, 단수가 감소하여 전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하순 가격은 중순 이후 출하지가 확대되며 상·중순 대비 하락한 것으로 예상된다.

■건고추
△생산전망 =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6만3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20.9%, 평년 대비 9.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재배면적은 29,770ha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0.8%, 평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단수는 212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11.2%, 평년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 9월 말 전 수확 종료, 작황 양호한 포전은 10월 중 마무리해야 한다.
△가격전망 = 10월 건고추 도매가격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화건 상품 도매가격은 13,500원/600g 내외,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높으나,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출하전망 = 10~11월 당근 출하량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여름(고랭지) 및 가을당근 재배면적 및 단수 감소로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풍(힌남노) 피해로 겨울당근 폐작한 면적 반영시 11월 출하량 감소폭이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가격전망 = 10월 가격 전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상품 도매가격은 65,000원/20kg 내외로 전망되며, 11월 가격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