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 파종·수확 기계화 기술 선보여
팥 파종·수확 기계화 기술 선보여
  • 권성환
  • 승인 2022.10.26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기계화 적응품종·재배기술 소개 … 파종기·탈곡기 전시
농촌진흥청은 지난 21일 전북 부안군 보안면 팥 재배단지에서 파종, 수확, 정선, 선별 등 작업 과정별 기계화 기술을 소개하는 연시회를 열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1일 전북 부안군 보안면 팥 재배단지에서 파종, 수확, 정선, 선별 등 작업 과정별 기계화 기술을 소개하는 연시회를 열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지난 21일 전북 부안군 보안면 팥 재배단지에서 파종, 수확, 정선, 선별 등 작업 과정별 기계화 기술을 소개하는 연시회를 열었다.

팥 생산 기계화 기술 중 씨뿌림 연시에서는 습해 우려가 있는 평탄지 밭이나 논 재배에 적합한 ‘둥근 두둑 1줄 재배’와 ‘평두둑 2줄 재배’를 선보였다. 수확 연시는 예취와 탈곡을 동시에 작업하는 콤바인을 활용해 진행했다. 

농촌진흥청은 팥 재배과정 중 노동력이 가장 많이 드는 씨뿌림과 수확 작업에 기계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인력으로 작업할 때보다 씨뿌림(파종)은 약 73%, 수확은 약 94% 노동력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팥 생산 기계화에 적합한 품종으로는 ‘아라리’, ‘서나’, ‘홍진’, ‘홍미인’이 대표적이다. 

기존 팥 품종들이 쉽게 쓰러지고 엉키듯 자라지만, 기계화 적합 품종은 쓰러짐에 강하며 서 있는 형태(직립형)로 자라기 때문에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 작업이 수월하다.

‘아라리’, ‘홍진’, ‘서나’는 수량이 많고 앙금으로 만들기에 우수한 특징이 있다. ‘홍미인’은 성숙기가 빨라 수확이 이른 편이고, 가공했을 때 밝은 적색을 띠기 때문에 통팥용으로 적합하다.

이날 연시회가 열린 부안군은 기계 적응품종 ‘아라리’ 팥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지역에서 생산된 팥을 이용한 가공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청년농업인을 주축으로 팥 작목반을 조직하고, 지역 내 가공업체와 계약재배를 맺어 작목반이 생산한 팥을 전량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