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의약품·화장품 소재인 ‘병풀’을 안정적으로 재배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성과를 선보였다.
병풀은 미나리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주요성분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는 피부 상처, 만성 궤양 치료에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심혈관 질환 개선, 위점막 손상 개선, 항염,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다. 하지만 식품소재로 활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충주 지역을 중심으로 병풀을 재배하지만, 국내에서 쓰는 병풀 원료 전량을 수입에 의존한다. 따라서 병풀을 일 년 내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과 활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수경재배 스마트팜 시설은 4대의 시시티브이(CCTV)와 9개의 온·습도 감지기(센서)를 이용해 온실 내 수경재배 시스템과 양액 공급장치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확인하는 기술이다. 또한, 원격으로 천장 스크린과 곁창 여닫기, 냉난방과 환풍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병풀 수경재배에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한 것은 국내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흙에서 병풀을 재배할 때는 병풀 적정 생육온도(24~28도) 때문에 6월부터 10월까지 1년에 4회 정도 수확할 수 있다.
수경재배 스마트팜 시설은 실내에서 인공광과 냉난방을 사용해 사계절 재배할 수 있으며, 재배 기간도 1주일 정도 단축돼 1년에 12회 이상 수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면적에서 3단으로 재배할 수 있어 생산량은 3배로 늘어나는 반면, 제초작업, 수확 후 세척 작업이 필요 없어 인력은 반으로 줄어든다.
농촌진흥청은 수경재배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실용화하기 위해 충주 지역 병풀 농가와 협력해 현장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외식상품 메뉴는 안정적으로 생산된 병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외식상품 차림표 10종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