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생산량 전년비 16% ↑ … 24만4천톤 내외 전망
금년 배·포도·단감 생산량 증가, 사과·감귤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생산전망 = 2022년 사과 생산량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 생산량은 전년대비 1% 감소하나, 평년과는 비슷한 51만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수는 해거리 및 태풍낙과 피해로 전년대비 2% 감소한 것으로 예측된다.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후지 생산량은 해거리 및 태풍낙과로 단수가 줄어 전년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후지 조숙계·양광 생산량은 재배면적 및 단수 감소로 전년대비 각각 8%,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감홍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하나, 태풍낙과로 단수가 줄어 전년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0월 사과 출하량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사과 출하량은 이른 추석 영향으로 전년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추석 성수기에 출하되지 못했던 시나노스위트·시나노골드 등 중만생 품종이 집중 출하될 것으로 예측된다.
11월 이후 출하량은 후지 생산량이 줄어 전년대비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상호조로 착색이 빨라 후지 수확 전년대비 빠를 것으로 예측된다.
△가격전망 = 10월 양광 가격 전년 41,6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양광 도매가격은 36,000~41,000 /10kg 내외로 전망된다.
■배
△생산전망 = 2022년 배 생산량 전년 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배 생산량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24만4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착과수 증가 및 생육기 기상호조로 단수 전년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다만, 호남·영남지역 태풍 영향으로 낙과피해가 발생하여 전월 전망치 18% 대비 2%p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10월 배 출하량 전년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배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추석에 출하하지 못한 물량이 많고, 농가의 가격하락 우려로 출하량 증가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설명절 출하를 위해 대과 및 상품과 저장 의향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이후 배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대비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신고 가격 전년 38,9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신고 도매가격은 26,000~30,000원/15kg 내외로 전망된다.
■감귤
△출하전망 = 10월 노지온주 출하량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노지온주 출하량은 시장격리 사업으로 출하량이 감소하였던 전년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유라조생등 고품질 극조생온주 보급확대로 극조생온주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이후 노지온주 출하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며, 생산량이 감소하나, 생육상황 호조로 출하 가능한 상품과 비율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10월에 출하될 노지온주 품질은 전년대비 양호한 것으로 전망되며, 과비대기 강수량 감소로 소과 비중 늘고, 당도도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9월 야간 기온 낮아 주·야간 일교차가 10℃ 이상 지속되면서 착색이 빨라 외관 전년대비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노지온주 가격 전년 9,3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노지온주 도매가격은 8,000~ 9,000원/5kg 내외로 전망된다.
■포도
△출하전망 = 10월 샤인머스캣 출하량 전년 대비 3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샤인머스캣 출하량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대비 3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출하량 증가 및 품위 저하에 따른 가격약세로 농가 저장 의향 증가가 예측된다. 반면, 캠벨얼리 및 기타 품종 출하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대비 6~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샤인머스캣 가격 전년 20,5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샤인머스캣 도매가격은 10,000~15,000원/2kg 내외로 전망된다.
■단감
△출하전망 = 10월 단감 출하량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과 11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대비 각각 11%, 15%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금년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10월 중순 이후 주품종인 부유의 출하로 출하량 증가폭 확대가 예측된다.
△품질 = 10월 단감 품질 전년 대비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생육기 기상양호로 외관과 당도는 좋으나, 착과수가 증가하여 크기는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부유 가격 전년 31,6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부유 도매가격은 20,000~24,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
■수입과일
△수입전망 = 10월 주요 과일 수입의향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오렌지·파인애플·자몽·망고 등 수입량 전년대비 증가, 포도·바나나·레몬 등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오렌지 수입량은 남아공산 원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파인애플 수입량은 필리핀 작황 양호하고 국내소비 원활하여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자몽 수입량은 국내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망고 수입량은 산지 작황부진에 따른 조기 물량 확보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수입량은 국내 샤인머스캣 가격하락으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바나나·레몬·아보카도 수입량은 고환율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소비 부진하여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키위 수입량은 품위 저하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