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정보 플랫폼 구축·운영해야”
최근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농촌 정주 기반 확충 및 세대 맞춤형 정책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귀농·귀촌 인구는 51만5,434명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이는 2017년 51만 6,817명에 이어 두 번 째로 큰 규모다.
귀농 가구는 1만 4,358호로 전년(1,858호) 대비 14.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귀농·귀촌 가구가 증가하면서 평균 귀농 가구원 수는 1.38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줄었고, 귀촌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1.38명으로 전년 대비 0.02명 감소했다.
귀농 목적지는 농업 여건이 좋은 비수도권의 전통적 농업지역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귀촌 목적지는 정주 여건이 잘 갖춰진 지자체에서 전반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 살아보기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한 지자체들에서의 귀촌인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처럼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농촌 소멸을 막고 농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귀농·귀촌 정책의 확장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우선 귀농·귀촌인구를 유입 시키기 위해 주택, 교육, 의료, 복지, 문화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농촌의 정주 기반 개선이 요구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귀농·귀촌 인구가 확대되고 정착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농촌 소멸을 막고 농촌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는 첩경이다”며 “농촌 정주 기반을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주택, 교육, 문화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농촌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귀농·귀촌인을 유입,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세대별 차별적인 농촌 수요를 고려해 일률적 정책보다 세대 맞춤형 귀농·귀촌 정책의 확장 및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 통합적 정보 플랫폼을 구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일자리 등의 이유로 귀농·귀촌이 많은 2030세대를 위해 창업·창농, 취업·취농 등과 같은 일자리 연계 시스템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특히 청년이나 베이비부머, 여성 등에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지원돼야 하며, 농업 일자리 탐색 교육부터 농업법인 취업 및 농산업 창업 지원 등 일자리 정책이 귀농·귀촌인들에게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누구나 쉽게 농업·농촌에 대한 정보를 구하고 활동할 수 있는 지역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운영 해야한다”며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이들이 가진 재능을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계하고 이를 농촌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