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농업기술의 길라잡이
인삼 농업기술의 길라잡이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09.28 1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삼 해충 체계적 방제 전략 필요
지하부 해충 예정지 관리시 방제해야

▣ 인삼의 해충

인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인삼의 생육 전 단계에 걸쳐서 골고루 나타나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해충은 해충 단독으로 피해를 주기도 하며 병원균을 매개하여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인삼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해충은 생활사가 길어 인삼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을 가해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삼포장 주위의 경작지에서 침입해 들어오는 경우가 많고 그 발생이 간헐적 또는 돌발적으로 발생한다. 인삼의 지상부의 피해는 손쉽게 구별이 가능하나 지하부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생리적인 장해나 병원균에 의한 피해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서 해충의 방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해충의 방제를 위해서는 해충의 특성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방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해충을 방제하는 농약은 고독성이 많고 농약잔류가 심하여 최소로 사용하고,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병행하여야 한다. 또한 지하부의 해충은 본포에서 발생시 방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예정지관리시 방제하는 것이 좋다.

큰검정풍뎅이는 유충은 체색이 유백색이나 노숙유충은 황백색이다. 머리는 황갈색으로 광택이 적고 성충(체장 18~19mm, 폭 8~9mm)은 검정색 갑충으로 배끝 둔관이 뾰족 하고 겉날개가 벨벳(우단) 모양을 띠며 광택이 없다. 인삼 뿌리를 가해하며 주로 2~3년생 포장에서 9~10월에 피해가 발생한다. 뿌리 동체의 일부가 소실되거나 잔뿌리가 없어진 경우는 약해를 입은 것처럼 잎이 부분적으로 마르거나 엷은 갈색을 띤다. 유묘의 경우 시들거나 땅강아지 또는 거세미의 피해를 입은 것처럼 잎이 지면에 꽂히는 경우도 있다.

배수가 양호한 경사지, 구릉지에 위치한 포장, 부초보다는 제초가 잘 안된 포장이나 토양이 부드러운 포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굼벵이가 포장 내에 발생한 후에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사전에 성충이 날아와 토 양 속에 산란하는 것을 막는다. 굼벵이에 의한 피해가 예상될 때 치아메톡삼입제를 처리한다.

큰다색풍뎅이는 성충의 체장은 21mm 내외로 엷은 다색을 띤다. 유충의 두폭은 6.6mm, 체장은 39mm 내외로 큰검정풍뎅이나 참검정풍뎅이보다 뚜렷이 크다. 피해증상은 큰검정풍뎅이나 참검정풍뎅이와 비슷하며 5~7월에 피해가 나타난다.

예정지에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고 이 종이 발견될 때 약제 처리 후 경운 및 로터리 작업을 한다.

<원예원 인삼특작부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