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과일류 농업관측
8월 과일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08.10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석 성수기 배 가격 전년대비 하락 전망
8월 복숭아 출하량 전년대비 5% 증가

금년 사과·배 추석 성수기 공급량 원활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생산정망 = 2022년 사과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51만5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생육기 기상호조로 작황 양호하나, 후지 품종의 해거리 발생으로 전년대비 단수가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로 생산량은 단수가 증가하나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전년과 비슷한 8만3천톤 내외로 전망이 예측된다.
△출하전망 = 추석 성수기 사과 출하량 평년 대비 9% 증가, 전년 대비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사과 출하량은 이른 추석 영향으로 홍로 수확이 앞당겨져 전년대비 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조생종 쓰가루 출하량은 생산량 감소로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추석성수기(추석 전 3주, 8.20.~9.9.) 사과 출하량은 평년대비 9% 증가한 6만9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금년 추석 출하량 수요량(6만톤) 대비 많아 공급은 원활할 것으로 예측된다.
△가격전망 = 8월 및 추석 성수기 사과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쓰가루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25,700원 대비 상승한 36,000~40,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홍로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39,200원 대비 상승한 45,000~50,000원/10kg 내외로 전망된다.
추석 성수기(8.27.~9.9.) 홍로 도매가격은 전년 35,700원 대비 상승한 36,000~39,000원/5kg 내외로 전망되며, 금년은 이른 추석으로 품질(색택 등)에 따른 등급간 가격 편차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배
△생산전망 = 2022년 배 생산량은 전년 대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 생산량 전년대비 17% 증가한 24만7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작황 호조로 생육이 원활하여 단수가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추석 성수기 배 출하량 전년 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배 출하량 햇배(원황) 생산량 증가로 전년대비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8월 햇배는 고온과 가뭄으로 일부 과 비대 전년대비 부진, 모양 및 당도는 양호한 편이다.
추석 성수기(추석 전 3주, 8.20.~9.9.) 배 출하량은 전년대비 3% 증가한 6만1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금년 생산량은 큰폭으로 증가하나, 이른 추석과 인력부족으로 GA(지베렐린)처리 농가 비중이 감소했다. 또한, 완숙과 및 대과 출하 비율이 다소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9월 배 출하량은 전년대비 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추석 성수기에 출하되지 못한 배가 추석 이후 집중 출하될 경우 가격 하락이 우려된다.
△가격전망 = 추석 성수기 배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원황 도매가격은 전년 54,900원 대비 하락한 43,000~47,000원/15kg 내외로 전망되며, 추석 성수기(8.27.~9.9.) 신고 도매가격은 전년 33,600원 대비 하락한 27,000~32,000원/7.5kg 내외로 전망된다.

■감귤
△출하전망 = 8월 하우스온주 출하량 전년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량 재배면적 확대와 이른 추석 (9.10.)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8월 출하될 하우스온주 품질은 당도 및 당산비 좋고, 소과 비율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이후 출하량 전년대비 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8월 하우스온주 가격 전년 21,80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하우스온주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7,000~21,000원/3kg 내외로 전망된다.

■포도
△생산전망 = 2022년 포도 생산량 전년 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생산량 재배면적 및 단수 증가로 전년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 및 노지포도 생산량은 전년대비 각각 40%,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 샤인머스캣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늘어 전년대비 5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캠벨얼리·거봉·MBA·델라웨어는 품종 전환(샤인머스캣) 등으로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8월 캠벨얼리·거봉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 샤인머스캣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캠벨얼리·거봉 출하량은 품종 전환(샤인머스캣)으로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대비 각각 6%, 1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샤인머스캣 출하량은 재배면적확대 및 유목의 성목화로 전년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8월 캠벨얼리·거봉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샤인머스캣은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캠벨얼리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17,900원 대비 상승한 24,000~28,000원/3kg 내외로 전망, 거봉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14,100원 대비 상승한 18,000~22,000원/2kg 내외, 샤인머스캣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31,300원 대비 하락한 27,000~31,000원/2kg 내외로 전망된다.
추석 선물용 수요증가로 가격 하락폭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복숭아
△생산전망 = 2022년 복숭아 생산량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복숭아 생산량은 재배면적 및 단수 증가로 전년대비 7% 증가한 20만6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품종별로 천도계, 유모계 전년대비 각각 5%, 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8월 복숭아 출하량 전년 대비 5%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천도계, 유모계 출하량은 전년대비 각각 1%,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당도 등 품질 양호하나, 과 비대 부진으로 대과 비율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8월 천도계 복숭아 가격 전년 대비 상승, 유모계 복숭아는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레드골드(천도계)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29,000원 대비 상승한 30,000~34,000원/10kg 내외로 전망되며, 출하량은 증가하나, 당도가 좋아 가격 전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천중도 백도(유모계)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25,900원 대비 하락한 18,000~22,000원/4kg 내외로 전망된다.

■단감
△생산전망 = 2022년 단감 생산량 전년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감 생산량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11만1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현재까지 작황 양호로 단수 전년대비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