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272개 식물 신품종 출원
상반기 272개 식물 신품종 출원
  • 윤소희
  • 승인 2022.08.03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자원, 품종보호 동향 발표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올해 상반기에 272개의 식물 신품종이 지식재산으로 보호받기 위해 품종보호 출원이 됐으며, 품종보호 등록 품종 수는 284개라고 밝혔다.

품종보호제도는 식물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해주는 특허 제도의 일종으로, 품종보호 출원이 되고 품종보호권이 설정되면 육성자에게 식물 신품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보장한다.

올해 상반기 출원 현황을 작물 중심으로 분석해 보면, 가장 많이 출원된 작물은 장미로 39품종이 출원됐으며, 다음으로 국화 34품종, 벼 17품종, 거베라와 배추가 각각 9품종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작물에 화훼가 3개 작물 포함됐으며, 상위 5개 작물의 출원 건수는 전체 출원 건수의 약 40%를 차지한다.

작물류별로는 장미, 국화, 거베라 등 화훼류가 58%로 가장 많으며, 고추, 배추, 무 등 채소류와 벼, 콩, 옥수수 등 식량작물이 각각 15%, 복숭아, 사과, 포도 등 과수류가 6%로 나타났다.

출원인을 중심으로 보면 전체 출원 중 외국에서 출원되는 비중은 약 20%로 나타났다. 국내 출원 80%는 도 농업기술원 등 지방자치단체가 42%, 농촌진흥청 등 국가기관에서 22%를 차지해 전체 출원 건의 64%를 담당했고, 개인육종가와 종자업체는 각각 16%를 담당했다.

작년 상반기 출원 현황과 비교해 보면 전체 출원 건은 302건에서 272건으로 감소했고 작물류별 출원 건수는 식량작물 비중이 감소했으나, 채소류 출원이 증가했다. 

품종보호출원이 되면, 서류심사를 거쳐 국립종자원 본원(김천), 경남지원(밀양), 동부지원(평창), 서부지원(익산), 제주지원(제주)에서 작물별로 재배시험을 거쳐 품종보호 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작물별 번식방법에 따라 재배시험 기간이 다르나 일반적으로 품종보호 등록 결정까지는 출원 후 1년에서 3년이 소요된다. 

한편, 올해 상반기 품종보호 등록된 284개 품종을 작물별로 분석해 보면, 고추가 38품종으로 가장 많이 등록됐으며, 다음으로 장미 31품종, 배추 18품종, 토마토 16품종, 양파 13품종으로 나타났고, 상위 5개 작물에 채소류가 3개 작물 포함됐다.

올해 상반기 품종보호 등록된 품종 중 국내에 처음으로 등록된 작물은 5개 작물이며 총 7품종이 등록됐다. 화훼류인 양국수나무, 누운숫잔대 3품종, 스파티필름, 과수류인 타이뽕나무와 채소류인 선씀바귀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