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 출하면적 전년대비 1% 증가
7월 주요 과채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수박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충청·영남지역은 멜론, 토마토 등에서 시설 수박으로 전환, 정식시기 앞당긴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호남지역은 인건비 상승과 고령화로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은 일부 농가 정식시기가 4월 상순→하순으로 조절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과 비대기 6월 기상 여건이 좋아(높은 평균기온 등) 생육이 양호하여 전년 대비 단수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병·바이러스 피해 감소로 작황이 양호한 편이다.
8월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가격 상승 기대로 재배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충청·호남지역은 타 작목(토마토, 고추 등)에서 수박으로 전환한 농가가 있으며, 영남지역 경북 봉화 등은 시설 수박 정식시기 조절(5→4월), 노지 수박 정식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2,000~2,200원/kg 내외이며, 전년 대비 13% 하락, 평년 대비 18%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참외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경북 성주, 김천, 고령·대구광역시는 재배면적 감소, 참외에서 샤인머스캣, 양파, 마늘 등으로 작목 전환한 농가가 있으며, 경북 성주는 병해충, 바이러스 확산 등으로 전년 대비 출하 조기 종료한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6월 하순 야간 고온과 습한 날씨 등으로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 발생, 병해충 담배·온실가루이, 총채·뿌리혹선충 등 피해 증가하여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주산지에서 전년 대비 바이러스와 병충해가 늘어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8월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감소, 작목 전환, 출하 조기 종료 등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와 병해충 피해로 출하 종료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21,000~23,000원/10kg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 11%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6월 하순 발생한 바이러스와 병충해로 품질이 저하되어 가격 상승 폭이 제한적이다.
■토마토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최근 2년 간 여름 출하기 가격이 높아 재배면적 증가, 풋고추에서 작목 전환, 호남지역 전남 화순은 병해 발생으로 일부 재배면적 조기 종료했으며, 영남지역은 대추형방울토마토로 품종 전환, 여름 출하 농가의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생육 초기 일조량 증가 및 병해충 발생 감소로 작황 호조를 보이며, 영·호남지역은 병·바이러스 겹둥근무늬병, 청고병, 황화바이러스 등 발생으로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면적은 강원지역 재배면적이 늘어 전년 대비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6,000~18,000원/10kg 내외이며, 전년 대비 9% 하락, 평년 대비 13%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방울토마토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인력 부족과 가격 상승 기대로 호박, 오이 등에서 대추형방울토마토 작목 전환, 충청지역은 전년 여름철 가격이 높아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강원지역은 생육 초기 일조량 증가로 병해충 발생이 적고 작황이 양호한 편이며, 충청지역은 기상 여건 양호(일조시간 증가)하여 작황이 좋았던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8월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타 작목(호박, 오이 등)에서 전환, 충청지역 충북 음성은 인력 부족으로 대추형방울토마토에서 대파, 멜론 등으로 작목을 전환하려 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8,000~10,000원/3kg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 7%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빨강파프리카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인력 부족과 작목 전환 홍고추, 토마토, 피망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 정식시기 조절이 필요하며, 영·호남지역은 가격하락 및 수급 조절로 조기 종료, 전북 남원에서 대추형방울토마토로 작목 전환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호남지역은 생육 초기 기상 여건이 양호하여 착과량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영남지역은 전년 대비 병·충해(흰가루병, 뿌리썩음병, 총채벌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8월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인력 부족과 작목 변경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호남지역은 전북 남원에서 작목 전환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14,000~16,000원/5kg 내외이며, 전년 대비 10% 하락, 평년 대비 13%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량은 전년과 비슷하나, 수요 감소로 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오이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1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지역은 인력 부족하여 오이에서 당근, 콩, 감자, 배추 등으로 품목 전환, 충청지역은 봄 작형 이상 기후(가뭄, 야간 저온, 고온 등)로 작황이 부진하여 출하가 조기 종료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충청지역은 생육기 야간 저온과 큰 일교차, 6월 하순 고온 등으로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은 생육 초기 일조량 감소 등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착과 불량, 생육 지연이 전반적으로 작황이 좋았던 전년 대비 출하가 지연되어 단수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강원 홍천 지역은 오이에서 당근, 콩, 감자, 배추 등으로 품목 전환, 충청·경기지역은 농가 고령화 및 인력 부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55,000원/100개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1%, 38%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전망 = 취청오이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강원지역은 인력 부족으로 재배면적을 줄여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전년 대비 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강원지역은 정식 후 저온 현상과 큰 일교차 등으로 작황 부진, 일조량 부족에 따른 생육이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8월 출하면적은 주산지에서 인력 부족에 따른 재배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27,000원/50개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40%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