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걸리면 ‘수확량’·‘상품성’ 회복불가
강우 전 보호살균제, 강우 후 침투성살균제 처방
강우 전 보호살균제, 강우 후 침투성살균제 처방
집중된 강우로 인한 높아진 습도와 여름철 고온이 이어져 탄저병 등 다양한 병해가 속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탄저병은 원예작물뿐만 아니라 과수에도 발생하는 주요 병해로 한 번 발생하면 회복이 불가능해 예방을 위한 약제 처리가 필수이다.
탄저병은 고추를 비롯한 원예작물과 과수에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는 원예 주요 병해이다. 상품성과 수확량을 큰 폭으로 저하시키며, 전염속도가 빨라 방제하기 매우 어렵다.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하게 확산해 한 번 발생하면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생 전 예방이 최선의 방제방법이다. 포자상태로 전이가 되어 포장 내 통풍 및 환경관리가 중요하고, 빗물에 의해 전염되기 때문에 멀칭 및 하위엽 제거 등 경종적 관리가 필요하다.
탄저병은 포자상태로 잠복하고 있다가 발병조건이 맞춰지면 작은 반점으로 시작해 점차 둥근 무늬로 확대되면서 병반을 나타낸다.
빗물 등을 이용해 포자가 주변으로 확대되는데, 병이 발생하기 전 내우성이 강하고 예방효과가 우수한 보호살균제를 처리해야 한다. 비가 온 후에는 침투성 살균제의 처방으로 병의 확대를 막아주고, 침투한 병원균을 방제할 수 있는 제품이 효과적이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