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 출하면적 전년대비 9% 감소
7월 배추·무 출하량 평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2년산 마늘·양파가격은 생산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으나,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생산전망 = 여름(고랭지)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고랭지)배추 생산량은 40만 9천 톤으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6%, 3.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5,166ha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9%, 3.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7,913kg/10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8% 감소, 평년 수준으로 전망되며, 준고랭지1기작 배추(평창, 횡성) 작황 부진하나, 정선·삼척 등 7월 출하 배추 작황은 평년 수준으로 전망된다.
6월 하순부터 준고랭지1기작 배추 출하를 시작하여 7월 중순 정선(임계)·삼척(하장)·태백 (상하사미) 등 상대적으로 저지대 물량 출하가 있었다.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1.7%, 6.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8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7.9%, 4.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봄 저장 및 여름(고랭지)배추 생산량은 감소하여 7~8월 출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상품 도매가격은 10,500원/10kg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0.9%, 39.0% 상승한 것으로 전망되며, 노지봄 저장 출하 및 여름(고랭지)배추 생산량 감소로 가격 상승이 전망된다.
8월 가격 여름(고랭지)배추 출하량 감소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전망 = 여름(고랭지)무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고랭지)무 생산량은 24만 2천 톤으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5.3%, 2.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면적은 2,650ha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3%, 3.0%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파종기(5~6월) 가격이 높았고, 이른 추석(9월 10일)으로 5~6월 파종면적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9,141kg/10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1.5% 감소, 평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 준고랭지1기작 무 생육기(5월) 저온·가뭄으로 생육이 지연되었으나, 6월 우천으로 작황이 회복된 것으로 보이며, 출하는 7월 상순 시작, 7월 중순~8월 상순 본격적으로 출하될 예정이다.
△출하전망 = 7~8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5%, 8.8%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노지봄무 및 준고랭지1기작 무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4.7%,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고랭지무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도매가격은 14,000원/20kg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7.8%, 20.9%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노지봄무 및 준고랭지1기작 무 출하량 감소로 가격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가격 여름(고랭지)무 출하량 감소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생산정망 = 2022년산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 생산량은 94만 1천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8.3%, 평년 대비 21.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면적은 14,546h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6.7%, 평년 대비 14.9%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단수는 6,471kg/10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2.4%, 평년 대비 7.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양파 가격 평년 대비 높으나,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상품 도매가격은 1,35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양파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산 가격 강세로 중국산 양파 민간 수입 증가가 우려된다.
■마늘
△생산전망 = 2022년산 마늘 생산량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29만 1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7.1%, 평년 대비 12.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면적은 23,686h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0.7% 증가, 평년 대비 8.8% 감소, 단수는1,228kg/10a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7.7% 감소, 평년 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 생산량은 대서종은 전년 대비 2.1% 감소, 남도종은 전년 대비 14.8%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깐마늘 가격 평년 대비 높으나,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8,5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마늘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산 마늘 산지가격 하락으로 민간 수입 증가가 우려된다.
■대파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20.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9.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고, 재배면적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전년 대비 11.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기 가뭄으로 작황 부진, 호남은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7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봄대파 출하량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생산전망 = 봄당근 저장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생산량은 2만 8천 톤으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5.3%, 4.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967ha로 보이며, 전년 대비 3.5% 감소, 평년 대비 6.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2,858kg/10a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3%, 10.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기 기상 여건(저온, 큰 일교차, 가뭄 등) 악화로 작황이 평년 대비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봄당근 저장량은 1만 톤으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0.6%, 4.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출하기 가격 상승으로 산지출하를 선호하여 저장량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노지봄당근 산지 출하 늦어 저온 저장고 입고시기 평년 대비 10일 내외로 지연된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봄당근 입고 6월 하순 종료, 노지봄은 6월 하순부터 산지 출하 및 저장을 병행, 노지봄당근은 장마기간으로 수확 작업이 진행되어 저장 당근 품위 저하가 우려된다.
△출하전망 = 7~8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4.7%, 5.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노지 및 저장봄당근 출하량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8%, 3.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상품 도매가격은 37,000원/20kg 내외이며,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4.7%, 32.4% 상승한 것으로 전망되며, 봄당근 출하량이 감소하여 가격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