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 활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통해 밝혀
농촌 경영체의 디지털 플랫폼 활용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농촌산업 경영체와 수요자의 관점에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농촌산업 경영체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를 진행한 허정회 연구위원은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과 관련한 정책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농촌산업 경영체는 약 8%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밝히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농촌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경영체들의 활용 수요가 높은 홍보와 마케팅 등에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실태 진단과 개선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전국의 농촌산업 경영체 1,200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통해 경영체들의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대다수(79.1%) 경영체는 생산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디지털 플랫폼은 ‘인터넷 홈페이지’(80.1%), ‘블로그’(72.6%), ‘네이버밴드’(40.1%), ‘페이스북’(28.5%) 순서로 조사됐다.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경영체의 매출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도 78.7%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향후에도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영체도 87.8%에 달했다.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경영체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플랫폼 활용 관련 교육을 이수할수록, 이수한 교육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영주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 활동이 매출액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플랫폼 활용과 관련해 정책적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영체는 8.3%에 불과했으며, 3년간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영체도 21.7%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