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안정적 농촌 인력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인력지원이 실시된다.
지난달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내국인 근로자 공급 활성화 ▲외국인 근로자 공급 활성화 ▲농업인력 지원시스템 체계적 구축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내국인 근로자 공급 활성화를 위해 농촌인력공급 서비스 확대·운영, 체류형 영농작업반 및 국민 참여형 일손 돕기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도는 농촌인력공급서비스를 지난해 39개소에서 올해 22개 시군 44개소로 확대해 총 30만 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누구나 참여 가능한 국민참여형 일손 돕기 운동도 지속 추진해 나간다. 지난해 4만1000명이 참여해 단순 농작업에 많은 도움을 줬던 일손돕기는 도·시군 공무원, 공공기관을 비롯해 지난해 지역 대학과 양해각서(MOU)를 맺어 대학생까지 참여가 확대된다.
외국인 근로자 공급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신규 해외 지자체 발굴, 국내체류 외국인 계절근로 상시운영,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도 추진한다. 올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지난해보다 2배 증가한 12개 시군 1614명을 법무부에서 배정받았으며, 도입 시군에서는 입국을 위한 사전절차 준비에 한창이다.
아울러 농업인력 지원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도농인력중개서비스 기능개선으로 농가 및 구직자 신청, 실적관리, 이력관리 등을 전산화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내달 1일부터 11월까지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 상황실을 운영한다. 농작업 진행상황, 인력수급 현황 등 동향 파악과 모니터링을 통해 상시 시군과 협조체계를 유지해 애로사항 등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김종수 농축산유통국장은 “본격적인 농번기를 앞두고 농업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농협, 시군과 협력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 지원하겠다”며 “올해는 상황실 운영을 통해 농가 애로사항 해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국·내외 인력 공급 활성화, 농업인력지원 시스템 체계적 구축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